•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OECD, 4개월 만에 한국 성장률 전망 2.4→2.1% 하향(종합)

등록 2019.09.19 18:41: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2.3%…0.2%p 하향

세계 성장률 2.9% 전망…금융위기 이후 최저

OECD, 4개월 만에 한국 성장률 전망 2.4→2.1% 하향(종합)


【세종=뉴시스】박영주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글로벌 교역 둔화가 지속되고 중국의 수입·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개월 만에 다시 하향 조정했다.

다만 최근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등이 내수 증가로 이어져 내년에는 올해보다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봤다.

OECD는 19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1%로 수정 전망했다. 이는 지난 5월 '경제전망'(Economic Outlook)에서 2.4%를 전망한 지 4개월 만에 0.3%포인트(p) 하향 조정된 것이다.

반면 OECD는 캐나다나 일본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캐나다는 지난 5월 1.3%를 전망했지만 이번 전망에서는 1.5%로 상향됐다. 일본 역시 지난 5월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을 0.7%로 예상했지만 이달 전망에서는 1.0%로 0.3p 올렸다.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도 지난 5월 전망인 2.5%보다 0.2%p 낮은 2.3%로 조정됐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보다는 높지만, 내년 경제 상황도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본 셈이다.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2.9%로 지난 5월 전망치인 3.2%보다 0.3%p 낮췄다. 내년 전망치는 3.0%로 지난 5월 전망치(3.4%)보다 0.4%p 내려갔다.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은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이다. OECD는 미·중 무역분쟁이 2020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0.3~0.4%p 감소시킬 것으로 분석했다.

주요 20개국(G20) 올해와 내년 성장치 전망치는 3.1%와 3.2%로 각각 0.3%p, 0.4%p 내려갔다.

OECD는 하방리스크로는 무역갈등, 중국 둔화, 브렉시트, 금융 불확실성을 제시했다. 무역갈등은 관광 등 서비스 부문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미국의 EU(유럽연합) 등 수입차에 대한 관세부과 가능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봤다.

중국의 경우 수입 감소세가 지속 중이며 인프라 투자 증가도 미미해 예상 이상의 급격한 경기 둔화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분석했다. OECD는 중국 내수 증가율 2%p 감소시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은 0.7%p 감소하는 것으로 내다봤다.

노딜 브렉시트 현실화시 영국 중심으로 유로존 전체가 큰 타격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영국 GDP는 최대 2.0% 감소하고 유로존 GDP는 최대 0.5% 감소할 것으로 봤다.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 등으로 마이너스 금리 채권 급증 및 수익률 곡선 평탄화도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OECD는 지난달 기준 마이너스 금리 채권 규모를 역대 최고인 17조 달러로 추정했다.

OECD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4%p 낮춘 2.4%로 내다봤다. 내년에는 2.0%로 전보다 0.3%p 내렸다. 소비는 탄탄하나 관세부과 등에 따른 투자·수출 둔화세가 반영됐다.

중국은 올해 성장 전망률을 6.1%, 내년도 성장률을 5.7%로 각각 0.1%p, 0.3%p 낮췄다. 무역분쟁 심화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투자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추가 경기 둔화 가능성 등에 대응해 정책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OECD는 권고했다.

유로존은 부진한 대외수요 등으로 투자와 수출이 둔화되면서 2019~2020년 성장률이 1%대 초반에 머무를 것으로 봤다. 특히 대외의존도 및 제조업 비중이 높은 독일 등 성장률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성장률 하향조정 폭은 G20 평균 수준이며 올해 성장률 전망은 G20중 5위에 랭크됐다. 2020년 성장률 하향 조정폭은 G20 평균(0.4% 감소)의 절반에 달하며 내년 성장률 전망은 G20중 4위에 해당했다.

OECD는 "무역갈등을 완화하고 불확실성을 해소함으로써 투자를 촉진하고 잠재성장률을 제고하는 등 공동의 노력이 시급하다"며 "지속 가능한 성장과 중장기적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구조개혁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