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자고나면 1~2억 '껑충'…수원·용인 집값 거품일까?

등록 2020.02.04 06: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정부 규제 비켜간 수원 영통·용인 수지 아파트값 상승 주도

비규제 지역·개발 호재에 실수요까지 몰려 집값 상승 계속

단기간 대폭 상승으로 인한 피로 누적…"집값 조정 불가피"

【서울=뉴시스】 뉴시스 DB

【서울=뉴시스】 뉴시스 DB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경기 수원과 용인 아파트값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거품 논란'이 고개를 들고 있다.

12·16 부동산 대책 이후 집값 상승을 주도한 서울 강남지역은 집값 하락폭을 키우고 있는 반면, 고강도 규제를 피한 수원과 용인 등 경기 남부 일부 지역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수원에서 전용면적 84㎡의 아파트가 13억원 선에서 거래되고, '미분양 무덤'이라고 불린 용인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10억원이 넘는 단지가 나오는 등 집값이 급상승하면서 '부동산 거품'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시장에서 매겨진 집값이 실제 가치보다 터무니없이 높다는 것이다.   

한국감정원 주간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주(1월27일 기준) 수원 영통구는 1.20% 올라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수원 권선구(1.09%) ▲수원 팔달구(0.84%) ▲용인 수지구(0.81%)가 뒤를 이었다.

실제 수원과 용인 아파트값이 들썩이고 있다. 지난해 8억원대에 거래됐던 수원 영통 '광교자연앤힐스테이트'(전용면적 84㎡)는 지난달 12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현재 이 아파트 단지의 호가는 13억원대에 육박한다. 또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성복역 롯데캐슬 골드타운'(전용면적 84㎡)도 지난해 10월 분양권이 8~9억원에 형성됐지만, 올해 2월 11억7200만원에 거래됐다. 불과 넉 달여 전인 지난해 10월 매매가 8억5000만원 보다 3억원 이상 상승했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대책이 서울과 강남, 고가 아파트에 집중되면서 규제를 비켜간 경기 남부지역으로 투기수요가 몰리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수원은 팔달구를 제외한 영통·권선구는 비조정 지역으로 대출 규제가 덜하다. 12·16 대책으로 9억원 초과 아파트는 대출을 금지하는 규제를 받지 않는다. 또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70%까지 적용되면서 40%로 제한한 서울 등 투기지역에 비해 자기 자본 비율을 낮춰 매매를 할 수 있다.
 
각종 개발 호재도 집값 상승에 한몫하고 있다. 수원지역의 숙원이었던 신분당선 호매실 연장 사업(수원 광교~호매실)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와 수인선(인천~수원) 개통 등의 교통 호재가 있다. 용인에는 지하철 3호선 수서 차량기지 이전 및 3호선 연장, SK하이닉스가 120조원을 투자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 등 지역 개발 호재가 적지 않다.

또 집값 급등과 대출 규제 부담내 집 마련 수요가 서울 대신 경기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게 부동산 업계 설명이다. 서울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비교적 교통여건이 양호한 수원과 용인 지역에 실수요자들이 몰린다는 것이다.  

수원 영통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정부의 12·16 대책 발표 이후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경기 남부 지역으로 투자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최근에는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실수요자들까지 매매에 나서면서 집값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택시장에선 수원과 용인 지역 중심의 최근 집값 오름세는 투기적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호가 상승이라는 의견과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다만, 풍선 효과로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집값에 거품이 낄 수 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또 거품 붕괴에 따른 대출 부실화 가능성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수원과 용인 지역에 집값이 단기간 대폭 상승한 여파로 집값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 시행으로 규제가 덜한 지역인 수원과 용인에 투기 수요가 몰리면서 집값이 급등하고, 주변 다른 아파트들의 가격 상승세를 부추기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며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인데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세가 서울 못지않다면 집값에 거품이 낀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수원과 용인 지역의 집값 상승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현재 서울보다 규제가 덜한 수원과 용인에 투자수요가 몰리고 있지만, 향후에는 집값 조정 기간을 거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