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혁신도시 인구 20.5만명 '유입 주춤'…가족동반 이주률 64%

등록 2020.02.19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국 혁신도시 계획인구의 76% 수준에 그쳐

공공기관 직원 가족동반 이주율 64.4% 기록

지역인재 채용률 25.9%…목표(21%) 초과달성

민간기업 입주 늘었지만 소규모기업 93% 차지

혁신도시 인구 20.5만명 '유입 주춤'…가족동반 이주률 64%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전국 혁신도시 등록인구가 지난해 1만2000명 느는 데 그쳐 인구 증가 속도가 전년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9일 혁신도시 내실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혁신도시 시즌2'와 관련해 지난해 혁신도시 성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혁신도시 정주인구는 20만4716명으로 2018년 말 대비 1만2177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말 17만4277명, 2018년 말 19만2539명 등에 비해 증가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이는 혁신도시 계획인구인 26만7000명의 76.4% 수준이다.

부산 혁신도시만 계획인구를 초과달성 했을 뿐 광주·전남혁신도시(65.0%), 경남 혁신도시(65.3%), 충북 혁신도시(66.4%) 등은 60%대에 그치고 있다. 

혁신도시의 평균 연령은 33.5세로 우리나라 평균인 42.6세에 비해 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 9세 이하 인구가 17.7%를 차지해 전국 평균(8.3%)의 약 2배에 달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율은 64.4%(기혼자 기준 51.4%)로 전년 대비 2.5%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48.5%, 2016년 52.6%, 2017년 58.0% 등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 해 이전 공공기관(109개)의 지역인재 채용율은 25.9%로 2019년 목표(21%)를 초과달성했다. 

지난해 혁신도시법에 따른 이전 공공기관의 신규채용 인원은 5886명이었으며, 이 중 1527명을 이전지역 출신 학생들로 채용했다.

지역별 실적을 살펴보면 지역인재 채용 풀(pool)이 가장 넓은 부산(35.7%)이 가장 높았고, 울산(27.2%), 대구·경북(26.9%), 강원(25.5%), 전북(25.5%), 광주·전남(24.6%), 경남(22.5%), 제주(21.7%) 등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 보면 전체 109개 기관 중 60개 기관은 목표를 달성했으며, 2개 기관은 신규채용이 없었다. 47개 기관은 혁신도시법에 따른 지역인재 의무채용 대상이 없었다.

의무채용 예외는 주로 지역본부·지사별 채용에 기인(55.7%)했다. 이러한 기관들은 지역본부·지사 인원 비율이 높은 특성을 보여 본사 소재 지역(이전지역) 인재를 채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전지역 인재 대신 지역본부·지사가 소재한 지역 출신 학생들을 많이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혁신도시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지난 해 732개 민간기업이 혁신도시로 들어섰으며, 이에 따라 입주기업수는 1425개사로 2018년 말(693개사)에 비해 두 배 넘게 증가했다.

하지만 수도권에서 이전해온 기업(15.7%, 224개사)이 적고, 소규모 기업(30인 이하)이 다수를 차지(93.5%, 1333개사)해 앞으로 해결해야할 숙제도 확인됐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부는 '혁신도시의 지역경제 거점화 전략'을 마련 중이다. 지자체와 한국토지주택공사, 관계부처 등과의 협의를 거쳐 계획을 보다 구체화시킬 계획이다.

전략의 주요내용은 혁신도시 클러스터 활성화, 입주기업 인센티브 확대, 정주여건 개선, 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등이다.

국토부 혁신도시발전추진단 주현종 부단장은 "지난 한 해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모두의 노력으로 지역인재 채용 확대, 정주인구 및 입주기업 증가 등 나름의 성과가 있었다"며 "올해는 혁신도시 시즌2를 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해 혁신도시를 기업과 사람이 모이고 일자리와 투자가 넘쳐나는 명실상부한 지역경제 거점으로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