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의당, 김종철 사태 딛고 수습 국면…당대표 후보군 누구

등록 2021.02.20 06: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당대표 보궐선거 등 일정 잡아…28일 전국위 확정

이정미·윤소하·박원석·여영국 등 전직 의원 하마평

배진교도 고민…"빨리 수습하고 당을 재정비해야"

두달 만에 비대위 종료…사실상 '징검다리' 역할 뿐

"비상대책 아무것도 없어…당원들에도 무책임해"

【서울=뉴시스】 박영태 기자 = 왼쪽부터 윤소하, 이정미 전 의원. 2019.06.24.since1999@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영태 기자 = 왼쪽부터 윤소하, 이정미 전 의원.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정의당이 내달 23일 새 당대표를 선출한다. 김종철 전 대표 성추행 사태로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한 지 두 달도 안 돼 정상 국면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정의당은 19일 당대표 보궐선거 등에 대한 일정안을 공개했다. 김 전 대표 후임 당대표와 함께 김윤기 부대표 사퇴로 공석이 된 부대표 한 자리, 김 전 대표 사태로 선출 일정이 미뤄졌던 청년정의당 대표 선출도 같이 이뤄진다.

우선 내달 1일 선거 공고 후 5~6일 이틀간 후보등록을 받는다. 이어 7일부터 17일까지 선거운동을 한 후 당원 총투표에 돌입해 23일 선출된다. 다자구도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29일까지 1·2위 후보자간 결선투표가 진행된다.

최종 일정은 오는 28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차기 당대표 후보로는 이정미·윤소하·박원석·여영국 등 전직 의원들이 거론되고 있다. 정파 구도상 일부 후보들은 교통정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원석 정의당 정책위의장

박원석 정의당 정책위의장

이정미 전 의원은 20대 국회 비례대표 1번으로 입성해 지난 2017년 4기 당직선거에서 선출돼 당대표를 지냈다. 2018년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하며 손학규 당시 바른미래당 대표와 단식을 벌여 관철시키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20대 국회 비례대표를 지낸 윤소하 전 의원은 임기 첫해인 2016년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 국정조사특위에서 활약했다. 고(故) 노회찬 의원 사망 후 원내대표를 맡았다.

박원석 전 의원은 19대 국회 통합진보당 비례대표로 당선됐다. 4기 당직선거에서 당대표 자리를 놓고 이정미 전 의원과 맞붙어 석패했다. 현재 정의당 정책위의장을 맡고 있다.

여영국 전 의원은 지난 2019년 경남 창원성산 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단일화해 당선됐다. 지난 21대 총선에선 단일화에 실패하며 고배를 마셨다.

[창원=뉴시스] 김기진 기자= 정의당 여영국 전 의원. 2020.04.01. sky@newsis.com

[창원=뉴시스] 김기진 기자= 정의당 여영국 전 의원. 2020.04.01.  [email protected]

21대 국회 현역 의원 중에선 배진교 의원이 출마 여부를 놓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배 의원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지금 중요한 건 전직이든 현직이든 힘을 모아서 이 상황을 빨리 수습하고 당을 재정비해야 한다"며 "그게 당대표 선거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전직 의원들의 출마는 지난 총선 이래 정체성 논란, 당원들의 이탈, 재정난 등 악재가 이어져온 정의당을 수습하기 위한 '안정론'이 대두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심상정 의원이 출마하지 않는 점도 있다.

정의당 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원내·외를 아우를 수 있는 경험이 있는 분들이고 안정감과 비전 제시 면에서 불안요소가 덜하지 않는가"라고 평가했다.

[서울=뉴시스]최동준 기자 = 정의당 강은미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02.1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최동준 기자 = 정의당 강은미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02.18. [email protected]

그러나 당 일각의 시선은 곱지 않다. 비상대책위원회가 결국 두 달도 채 안 되는 활동 기간 끝에 '징검다리' 역할만 한 채 서둘러 막을 내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도부 총사퇴 없이 기형적으로 꾸려져 당헌당규상 권한을 갖지 못했던 임시 체제의 한계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더욱이 김 전 대표 성추행 사태에 이어 류호정 의원의 수행비서 면직 논란까지 터지며 비상상황을 수습해야할 비대위 체제 하에서 잡음이 발생했다는 냉정한 평가도 뒤따른다. '포스트 심상정'을 표방했던 진보정치 2·3세대로선 실망스런 리더십만 보인 셈이다.

한 정의당 관계자는 "고작 사건이 터지고 두 달 뒤 전국단위 당직선거를 치러 정상체제로 돌아간다는 것이 비상대책인가. 수습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당원들에게도 무책임한 것이다. 뭘 했다고 벌써 정상 운영을 운운하나"라고 반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