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영화산업은 미래 기간산업…정책 지원 체계 강화해야"

등록 2021.06.18 18:03:3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영진위, 영화산업 정상화 토론회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주말인 7일 서울 시내의 한 영화관에서 시민들이 휴일을 즐기고 있다. 2021.03.07. mangusta@newsis.com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주말인 7일 서울 시내의 한 영화관에서 시민들이 휴일을 즐기고 있다. 2021.03.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영화계 전문가들과 업계가 미래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영화산업 지원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박찬욱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센터장은 18일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주관으로 열린 '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 정상화 2차 토론회'에서 "영화산업은 콘텐츠 사업의 주요 기간산업으로서 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이 크다"며 "관련 정책 지원 체계를 선도국 위상에 맞게 강화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박 센터장은 영화 '기생충'의 경제적 효과를 언급하며 영화산업의 장밋빛 가능성을 내비쳤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월 기준 영화 '기생충'의 경제적 효과는 매출 등 직접 효과만 1293억원에 달했다. 콘텐츠 및 소비재 등 매출 및 수출 증가 총액은 7668억원, 생산유발효과는 1조4591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6326억원, 고용유발효과는 6399명으로 추산됐다.

그는 "기생충의 오스카 상 수상은 글로벌 문화계에서 예술성을 지속적으로 인정받아온 한국 영화가 상업적인 가능성에서도 주목을 받았다는 점을 증명한 상징적인 사건"이라며 "한국 영화가 본격적인 글로벌 지향의 산업 구조를 지향하는 일종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콘텐츠가 세계의 주류로 인정받고 있다며 콘텐츠 선도국인 미국, (과거) 일본 등과 비슷한 위상이 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준비해야 할 것도 짚었다.

박 센터장은 "영화산업은 IP(지식재산권)산업과 밀착 관계임을 유념해야 한다"며 "아시아 진출을 노리는 해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들의 한국 동반 전략을 당연한 것로 보고 해외 OTT와의 동반 성장, 동반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국내 시장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아시아의 제작기지 역할을 해야 한다"며 "높은 위상에도 영화박물관, 한류박물관 등 제대로 된 인프라가 없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코로나시대 한국영화산업의 피해 사례를 언급하며 국고지원을 호소했다.

장원석 비에이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최근 촬영을 마친 '범죄도시2' 등 제작 과정에서 겪은 고초를 전했다.

'범죄도시2'는 지난해 4월 배우와 스태프 등 100여명이 베트남에 넘어가 촬영을 진행했지만, 같은 시기 국내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거세지면서 베트남 대사관 측으로부터 철수 통보를 받아야만 했다. 

장 대표는 "당시 베트남으로 향하던 아시아나 항공기가 입국을 거부당하는 사건이 벌어지고, 대사관으로부터 철수하지 않으면 2∼4주간 강제 격리 조치를 당할 수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그야말로 야반도주하듯 베트남에서 전원이 철수했고, 10억 남짓한 예산이 공중으로 산산이 흩어졌다. 이후 국내 촬영 내내 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섭외한 장소의 취소, 변경으로 인한 추가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정부 지원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피해를 당한 영화들에 1억원 가량의 지원금을 준다든지 촬영 중인 영화에 방역 활동 지원비를 1000만원 단위로 지원해 줬지만 이러한 지원은 언 발에 오줌 누기식 지원에 그칠 뿐"이라며 "투자배급사들은 1년치가 넘는 라인업을 창고에 쌓아 두고 있다. 관람료 5~6000원을 지원하는 개봉 지원을 넘어 정부가 영진위랑 논의하여 어떤 식으로든 합리적 방안을 마련해서 영화 몇 편을 통으로 구매하는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고영재 인디플러그 대표는 "영화발전기금의 징수 규모에 따라 500억 내외의 예산집행이 지속해서 반복됐고, 거시정책에 따른 중장기 발전방안은 거의 없고, 영화발전기금의 규모에 따라서 정책들이 짜 맞추어진 관성적인 정책만이 반복되다가 코로나를 맞이했다"며 "영화의 산업적, 문화예술적 가치를 포함한 거시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일차적으로 극장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가 디지털 유통배급 환경의 변화 속에서 연착륙할 수 있는 자금을 확보하고,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부처와의 협업의 틀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