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근육 지방 적을수록 고혈압·당뇨병 위험 낮아진다

등록 2021.08.30 13:43:01수정 2021.08.30 15:23: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아산병원 김홍규 교수팀, 근육의 질·대사 연관성 규명

비만하면 지방 해로움 커 근육의질·대사건강과 연관 없어

[서울=뉴시스] 김홍규 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 교수가 건강검진 수검자에게 검진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서울아산병원 제공) 2021.08.30

[서울=뉴시스] 김홍규 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 교수가 건강검진 수검자에게 검진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서울아산병원 제공) 2021.08.30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지방이 적은 질 좋은 근육이 많아질수록 고혈압과 당뇨병 발병 위험이 낮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내분비내과분과) 김홍규 교수팀은 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2만659명(평균 52.9세)의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영상을 분석한 결과,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대사성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질 좋은 근육이 현저히 많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근육의 지방화가 많이 진행될수록 근육의 질은 저하된다.

연구팀은 영상 자동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전체 복부 근육(TAMA)을 ▲근육 내 지방이 적은 건강한 근육(NAMA) ▲근육 내 지방이 쌓여 건강하지 않은 근육(LAMA) ▲근육과 근섬유 사이 지방조직인 근육간지방조직(IMAT)으로 분류했다.

이후 전체 복부 근육에서 질 좋은 근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 좋은 근육을 전체 복부 근육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값인 '좋은 근육량 지표'(NAMA/TAMA 지표)를 개발했다. 지표값이 높을수록 전체 근육량 대비 질 좋은 근육의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대사가 건강하지 않은 사람은 고혈압 전단계, 당뇨병 전단계, 고중성 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 복부비만 중 2개 이상의 위험인자를 가진 사람이거나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있는 환자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비만하지 않고 대사가 건강한 경우 남녀 모두 NAMA/TAMA 지표가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NAMA/TAMA 지표가 낮은 하위 25% 그룹과 비교했을 때 상위 25% 그룹에서 대사가 건강하지 않을 가능성은 남성은 28% 낮았고 여성의 경우에도 43% 적었다. 근육의 질이 대사 건강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이다.

하지만 비만한 사람에서 근육의 질은 대사 건강과 큰 연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과도한 내장지방과 이소성 지방(근육·혈관·장기 등 비지방 조직에 쌓이는 지방)으로 야기되는 해로운 영향이 건강한 근육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로운 효과를 상쇄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비만한 사람은 철저한 절주와 식이조절, 규칙적인 운동으로 내장지방과 이소성 지방 감량에 힘쓸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근육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에 반응해 혈당을 흡수하고 소모하는 역할을 한다. 근육의 질이 저하되면 인슐린에 대한 반응도 감소해 혈당 흡수와 사용 능력이 떨어져 당뇨병 등이 유발될 수 있어 근육의 질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사 건강을 평가할 때 근육의 양만으로는 정확히 판단할 수 없고 근육의 지방화 정도 즉 근육의 질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해 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김 교수는 “나이가 들면 근육의 지방화가 늘어 근육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비만한 사람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해야 체지방이 효과적으로 줄고 질 좋은 근육을 늘릴 수 있고, 마른 사람은 질 좋은 근육을 늘려야 안전한 유산소 운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하체와 복근을 강화하는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의 몸 상태에 따라 적절한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의 비율과 강도가 다를 수 있다"며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두 가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고혈압과 당뇨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비만학회가 공식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오비서티(Obesity)’에 최근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