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전하는 '치유'…해수부, 해양치유정책포럼 개최
해양치유정책 발전방향·지자체 협력방안 논의

【서울=뉴시스】전남 함평 해수찜. (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오는 30일 온라인으로 '2020 해양치유 정책 포럼'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해양치유는 갯벌·염지하수·해양생물과 같은 해양자원을 활용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번 포럼은 오는 2021년 2월19일 '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해양치유법)의 시행에 앞서 해양치유산업 육성을 위한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포럼에는 해수부와 해양치유센터 조성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지자체, 해양치유 분야 전문가, 국립산림치유원·한국임업진흥원 등 관계기관이 온라인 회의 프로그램을 통해 참석할 예정이다. 또 유튜브를 통해 회의 내용을 생중계된다.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포럼에서는 해양치유 정책의 중·장기 추진 계획을 소개하고 각 지자체의 해양치유센터 설립 추진 경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해양과 산림을 연계한 치유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홍보전문가를 초빙해 해양관광자원으로서 '치유' 콘텐츠를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한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현재 독일·프랑스·일본 등 해외 국가들은 이미 해양치유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독일의 경우 해양치유를 포함한 치유산업 시장규모가 약 45조원에 이르고, 약 45만개의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해수부는 해양치유산업 육성을 위해 2017년부터 우수한 해양치유자원을 지닌 지자체 4곳과 함께 연구를 추진해 왔다. 이를 토대로 '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올해 1월에는 중장기 육성 계획인 '해양치유산업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헌신해 온 의료진, 자원 봉사자 등에게 '해양치유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해양치유센터 조성 사업을 추진하는 등 해양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정책관은 "해양치유산업은 독일, 프랑스 등 외국에서는 활성화돼 있으나, 국내는 아직 도입 초기로 인식과 인프라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관계 기관·지역 간 협력 및 산·학·연 교류가 더욱 활성화되고, 해양치유 산업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