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막걸리 빚기 문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

등록 2021.04.13 09:59:1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막걸리 (사진 =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21.04.1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막걸리 (사진 =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21.04.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문화재청은 '막걸리 빚기 문화'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지정 예고 대상은 막걸리 빚는 작업은 물론이고, 다양한 생업과 의례, 경조사 활동 등에서 나누는 전통 생활관습까지를 포괄한 것이다.

쌀 막걸리는 쌀을 씻어 고두밥을 지어 식힌 후, 누룩과 물을 넣고 수일 간 발효시켜 체에 거르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막걸리의 '막'은 '마구'와 '빨리', '걸리'는 '거르다'라는 뜻으로 거칠고 빨리 걸러진 술을 말한다. 명칭이 순우리말일 뿐만 아니라 이름 자체에서 술을 만드는 방식과 그 특징이 드러나 있다.
[서울=뉴시스] 단원 김홍도의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 중 '점심'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1.04.1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단원 김홍도의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 중 '점심'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1.04.13. [email protected]

‘막걸리 빚기 문화'는 6가지 면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우선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향유되고 있다는 점, 삼국 시대부터 각종 고문헌에서 막걸리 제조방법과 관련된 기록이 확인되는 점, 식품영양학, 민속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술연구 자료로서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막걸리는 멥쌀, 찹쌀, 보리쌀 등 곡류로 빚기 때문에 삼국 시대 이전 농경이 이뤄진 시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미온(美醞)' '지주(旨酒) '료예(醪醴)' 등 막걸리로 추정할 수 있는 내용이 확인된다. 

고려 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등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도 '백주(白酒)' 등 막걸리로 추측되는 용어가 확인된다.

조선 시대 '춘향전'와 '광재물보'에는 '목걸리', '막걸니' 등 한글로 표기된 막걸리를 찾을 수 있다. '규합총서' '음식디미방'을 비롯한 각종 조리서에서도 막걸리 만드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시스] 막걸리 거르는 모습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21.04.1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막걸리 거르는 모습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21.04.12. [email protected]

막걸리 빚기는 또한 농요·속담·문학작품 등 막걸리 관련 문화를 통해 한국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 전국에 분포한 양조장을 중심으로 막걸리의 지역별 특색이 뚜렷한 점, 현재에도 생산 주체, 연구 기관, 일반 가정 등 다양한 전승 공동체를 통해 막걸리를 빚는 전통지식이 전승·유지되고 있는 점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았다.

막걸리의 가장 큰 특징은 물, 쌀, 누룩만 있으면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제조 과정이 간단한 만큼 그 값이 저렴해 많은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었다.  

농사꾼들 사이에서는 "같은 품삯을 받더라도 새참으로 나오는 막걸리가 맛있는 집으로 일하러 간다"고 할 정도로 농번기에는 땀 흘린 후 갈증을 해소해주는 농주였다.  

막걸리는 예부터 마을 공동체의 생업·의례·경조사에서 빠지지 않았다. 오늘날에도 막걸리는 신주(神酒)로서 건축물 준공식, 자동차 고사, 개업식 등 여러 행사에 제물로 올릴 정도로 관련 문화가 유지되고 있다.
[서울=뉴시스] 국가무형문화재 밀양백중놀이 농신제(農神祭) 제상차림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1.04.1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가무형문화재 밀양백중놀이 농신제(農神祭) 제상차림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1.04.13. [email protected]

우리나라에서 막걸리는 많은 국민이 즐기고 향유하는 대중적인 술이다. 조선 시대까지 막걸리는 집집마다 가양주(家釀酒)로 빚어 집안 특유의 술맛을 유지해 왔고 김치, 된장과 같이 각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던 발효음식이었다. 

근대 후 국가 정책 흐름에 따라 가양주 대신 양조장 막걸리가 일반화되고 재료가 변화했지만 시대적 상황에 적응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해왔다. 2000년대 이후 막걸리 열풍이 불면서, 자가 제조도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뉴시스] 막걸리 (사진 =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21.04.1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막걸리 (사진 =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21.04.13. [email protected]

문화재청은 막걸리 빚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처럼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았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막걸리 빚기 문화'는 2019년 '숨은 무형유산 찾기'와 '국민신문고 국민제안'을 통해 국민이 직접 국가무형문화재를 제안해 지정 예고되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은 13일부터 5월12일까지 30일간 '막걸리 빚기 문화'를 지정 예고한다. 예고 기간 중 각계 의견 수렴 후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에는 예고 기간에 문화재청 웹사이트 외에도 '케이(K) 무형유산 동행'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을 통해서 ‘막걸리 빚기 문화’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