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락선 복원으로 남북정상 화상회담 가능성 커져" 中전문가

등록 2021.07.28 10:30: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북한, 외교고립 벗어나려 해…남한이 가장 편한 돌파구"

"연락선 복원, 문재인 정부 지지율 향상에 도움"

[서울=뉴시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7일 브리핑에서 "남과 북은 7월27일 오전 10시를 기해 그간 단절됐던 남북간 통신 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남북 양 정상은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하면서 남북 간 관계회복 문제로 소통을 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단절됐던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사진은 2020년 09월 16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자유의집에 설치된 남북직통연락실에서 연락관이 북측에 연락을 취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1.07.2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7일 브리핑에서 "남과 북은 7월27일 오전 10시를 기해 그간 단절됐던 남북간 통신 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남북 양 정상은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하면서 남북 간 관계회복 문제로 소통을 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단절됐던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사진은 2020년 09월 16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자유의집에 설치된 남북직통연락실에서 연락관이 북측에 연락을 취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1.07.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남북한이 1년 넘게 끊겼던 통신연락선을 27일 복원한 데 대해 중국 전문가들은 남북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리자청 랴오닝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27일 펑파이신문에 “통신연락선이 복원된 것은 남북 관계 (개선) 의 첫 걸음이며 좋은 시작”이라고 밝혔다.

리 교수는 “다만 앞으로 나아갈 길에는 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면서 “남북 소통 (진척) 상황, 미국의 개입, 코로나19 상황 등이 포함된다”고 전했다.

이어 남북간 통신연락선 복원으로 남북 정상이 화상 회담을 가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27일 남북은 작년 6월 대북전단 살포를 계기로 끊겼던 남북 간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이날 오전 10시를 기점으로 13개월 만에 전면 복원됐다.

양측은 통신연락선 복구 사실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친서를 주고받았다는 사실도 발표했다.

남북이 이날 동시 발표 형태로 남북 정상간 친서교환 사실과 통신연락선 복원 합의 사실을 알린 것은 정전협정 체결 68주년을 계기로 본격적인 관계 개선을 모색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리 교수는 “남북 정상이 친서를 교환했다는 것은 양측간에 '특별하고 은밀한 소통채널'이 있음을 의미한다”면서 “이번 재개(복원)은 연락채널의 전면적 복원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은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려 하는데 남한은 가장 편한 돌파구”라고 강조했다.

리 교수는 “북한도 남한내 정치적 변화를 감지했기 때문에 연락채널을 전면 복원했을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이번 조치는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 향상에 도움이 되고 진보진영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후이즈 지린대 북한한국연구소 소장은 “연락선 복원은 양측간 정상적인 소통의 필요한 조건”이라고 밝혔다.

장 소장은 “남측은 연락선 복원을 요구해 왔지만, 북한은 여러가지 이유로 이를 거절했다”면서 “의미있는 정전협정 체결 기념일에 연락선이 복원된 것은 북한이 남한과의 관계 회복을 원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은 남한 대선, 미중관계 등을 고려해 사전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장 소장은 “문재인 정부는 남북 관계 개선을 희망하고, 이는 문 대통령의 일관된 대북 정책과 입장”이라면서 “다만 현 상황으로 볼 때 (남북관계는) (4.27) '판문점선언' 그때로 돌아가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만약 북한이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고, 미국의 대북제재 완화를 실현해 낸다면 남북정상이 다시 회동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