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당국 "재택치료 외국에선 널리 권장…효율적 모델 검토"

등록 2021.09.15 15:18:1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수도권 누적 자가치료자 2808명…"전파 위험 낮출 것"

[수원=뉴시스] 경기사진공동취재단 = 8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인재개발원 실내체육관에 마련된 경기도 제2호 특별생활치료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이동형 음압병동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28병상 규모로 설치된 이동형 음압병동은 대면 치료가 가능한 의료인력 및 엑스레이실, 처치실을 갖추고 있어 기존 생활치료센터의 취약점을 보완했다. 2021.09.08.photo@newsis.com

[수원=뉴시스] 경기사진공동취재단 = 8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인재개발원 실내체육관에 마련된 경기도 제2호 특별생활치료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이동형 음압병동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28병상 규모로 설치된 이동형 음압병동은 대면 치료가 가능한 의료인력 및 엑스레이실, 처치실을 갖추고 있어 기존 생활치료센터의 취약점을 보완했다.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변해정 기자 = 방역 당국이 단계적 일상 회복을 위해 코로나19 무증상·경증 환자의 재택치료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재택 치료가 우리나라에서는 낯선 개념이지만 외국의 경우 무증상·경증 환자라면 재택치료를 하도록 이미 널리 권장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단장은 "실제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분들이 모두 입원할 필요는 없고 자택에서 좀 더 나은 조건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며 "일부지자체에서는 이미 시범사업을 하고 있고 질병관리청도 효율적인 모델을 검토하는 중"이라고 했다.

지난 11일 0시 기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자가 치료자는 누적 2808명이다.

정부는 현재 무증상·경증이면서 고위험군이 아닌 만 12세 이하 소아 확진자나 돌봄이 필요한 자녀가 있는 성인 확진자 등을 대상으로 재택치료를 제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 강원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성인 1인 가구 등 일반 확진자를 대상으로도 제한적으로 재택치료를 하고 있다. 무증상·경증이면서 가족·이웃이 접촉할 수 없게 방, 부엌, 화장실 등 생활공간이 분리된 경우에만 가능하다.

경기도는 지난 13일부터 재택치료 환자가 증상이 악화됐을 때 방문해 단기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특별생활치료센터를 운영 중이다.

앞서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향후 예방접종률이 올라가고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방안을 검토할 때 모든 확진자를 시설에 격리해 관리하는 현재의 방식으로 대응하기는 어렵다"며 "치명률이 낮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일정 부분 전파 위험이 커지는 한이 있더라도 재택치료로 의료대응체계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법이 중요해진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현재 소아 등 일부 대상을 중심으로 재택 치료를 조금씩 활성화시키면서 문제점을 체크하고 이 과정에서 높아지는 감염 전파 위험성을 최대한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는 중"이라고 덧붙여 전했다.

70일 넘게 네자릿수 확진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현재 병상 상황은 안정적인 편이다.
 
지난 14일 오후 5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를 위한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전국적으로 485개(50.6%), 수도권은 301개(서울 143개·인천 43개·경기 115개)가 각각 남아 있다.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준중환자를 위한 병상은 총 450개가 있으며 가동률은 60.4% 수준이다. 178개 병상이 남아있다. 이 중 수도권 병상은 88개다.

감염병전담병원 9715개 병상의 가동률은 60.6%로 3825개 병상이 남아있다. 수도권은 884개 병상의 여력이 있다.

무증상·경증 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는 전국 88개소 1만9905개 병상이 확보된 상태다. 가동률은 53%로, 9350개 병상이 비어있는 상태다. 수도권 지역의 병상 가동률 65%로 4559개 남아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