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창사 20주년 특집]김근익 수석부원장 "국내 주식·채권 자금유출 가능성"(종합)

등록 2021.09.27 13:52:0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가상자산·테마주·ESG 투자 위험 경고

윤재옥 정무위원장 "가계부채 위험 수준 도달"

김영도 실장 "기준금리 1%p↑하면 이자 12조↑

김형기 대표 "가계부채 그대로 방치할 수 없어"

***첨부용 금융포럼 김근익 부원장

***첨부용 금융포럼 김근익 부원장

[서울=뉴시스] 류난영 최홍 기자 = 김근익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27일 "미 연준의 테이퍼링 가시화로 국제금융시장 불안이 확산하는 경우, 국내 주식·채권 시장에서 자금 유출·안전자산 선호 심화 등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수석부원장은 이날 오전 '금리인상, 가계부채 괜찮은가'를 주제로 한 '뉴시스 창사 20주년 특집 온라인 금융포럼'에서 "특히 가계·자영업자·기업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올해는 지난해보다 증가세가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단기금융시장 리스크에 대해서는 "국내 머니마켓펀드(MMF)·기업 어음(CP) 잔액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자금 유입이 증가했다"면서 "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 등 단기금리 변동성도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김 수석부원장은 가상자산·테마주·ESG 투자 등에 대한 투자자 위험도 경고했다.

그는 "MZ세대를 중심으로 국내 가상자산 투자도 많이 증가했다"며 "신고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업자의 폐업 등으로 거래 위축 및 가격 변동성 확대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첨부용 금융포럼 김형기 대표

***첨부용 금융포럼 김형기 대표

또 "고수익 추구 경향에 편승해 코로나·ESG·대선 등과 관련된 테마주가 성행할 수 있다"며 "허위공시·ESG워싱·불법리딩방 등으로 투자자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은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할 경우 가계가 부담해야할 이자가 11~12조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지금 우리나라 경제에서 가장 큰 뇌관으로 지금 지목되고 있는 것이 가계부채 문제인데 우리가계는 상환 능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만약 금리 변동에 대한 위험이 닥칠 경우 상당히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이를 소득 분위별로 따져보면 현재 가계부채의 규모가 큰 5분위를 제외한 4분위 이하나 저소득층, 중산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분위에서도 상환 부담이 6조6000억원이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당히 가계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첨부용 금융포럼 김영도 실장

***첨부용 금융포럼 김영도 실장

그러면서 "가계의 상환 부담이 증가하게 되면 결국에는 가계 대출에 대한 연체가 일반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대출금리 자체가 1%포인트 인상될 경우에는 가계 연체율이 0.3%에서 0.6% 포인트, 연체 금액 자체는 1조7000억원에서 5조4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실질적으로 이 정도의 연체가 발생을 한다고 하면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도 상당히 건전성에 위험이 되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며 "실질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이 여러 가지 파급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데 기준금리가 일단 인상을 하게 되면 이에 따라 주택시장이나 거시경제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기준금리 인상이 금융시장, 특히 자본시장에 미치는 역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첨부용 금융포럼 윤재옥 위원장

***첨부용 금융포럼 윤재옥 위원장

김 실장은 "실질적으로 기준금리가 인상하게 되면 주가수익비율(PER) 지표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현재 기업의 실적들은 어느 정도 개선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상쇄할 가능성은 있다"며 "기준금리를 한 차례 인상했다고 하지만 실질금리 자체가 굉장히 낮은 편이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주식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지금 전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형기 뉴시스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코로나 사태가 계속되면서 우리 사회에서 금융의 역할은 더욱 더 커지고 있는데 가계부채 관리는 안정적인 국가 경제의 기조를 유지해주는 가이드라인"이라며 "통제 위험수위를 향해 불어나는 가계부채를 그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점, 일자리 축소 등으로 팍팍해진 서민들의 생활고를 외면할 수 없다는 점은 이 시대 우리 사회가 직면한 커다란 딜레마"라고 말했다.

윤재옥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도 축사를 통해 "코로나19 펜데믹을 겪으면서 주택·주식 등 자산시장으로의 쏠림 현상으로 빚이 크게 늘어났고, 자영업자들의 대출이 급증해 위험 수준에 도달해있다"며 "우리나라 경제의 최대 리스크로 부상한 '가계부채' 증가와 악화 속도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