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문 대통령 "누리호, 목표 이르진 못해…700km 올린 것만도 대단"

등록 2021.10.21 18:41:02수정 2021.10.21 18:44:3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누리호 발사 참관 후 대국민 연설서 직접 결과 발표

"더미위성 궤도 안착 미완 과제…내년 5월엔 성공"

"우주 강국 위해 장기적 투자…2030년 달 착륙 꿈"

[고흥=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2)'의 발사 참관을 마치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통제동에서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하고 있다. 2021.10.21. amin2@newsis.com

[고흥=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2)'의 발사 참관을 마치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통제동에서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하고 있다. 2021.10.2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안채원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궤도 안착에 성공하지 못한 것을 두고 "아쉽게도 목표에 완벽하게 이르진 못했지만, 첫번째 발사로 매우 훌륭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참관 후 대국민 연설에서 직접 누리호 비행 시험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발사관제로부터 이륙, 공중에서 벌어지는 두차례 엔진 점화와 로켓 분리, 페어링과 더미 위성 분리까지 차질없이 이뤄졌다"며 "완전히 독자적인 우리 기술"이라고 했다.

이어 "다만 더미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는 것이 미완의 과제로 남았다"며 "하지만 발사체를 우주 700㎞ 궤도까지 올려보낸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이다. 우주에 가까이 다가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누리호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한 지 12년 만에 여기까지 왔다. 이제 한 걸음만 더 나아가면 된다"며 "오늘 부족했던 부분을 점검해 보완한다면 내년 5월에 있을 두번째 발사에서는 반드시 완벽한 성공을 거두게 될 것"이라고 했다.
[서울=뉴시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21.10.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21.10.2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문 대통령은 "정부는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우주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안목에서 흔들림 없이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선 "한국형 발사체의 성능을 꾸준히 높이고 다양한 위성 활용으로 이어가겠다"며 "향후 10년 동안 공공 분야에서만 100기 이상의 위성이 발사될 예정인데, 모두 우리 손으로 쏘아 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발사체 개발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또 "내년부터 총 3조7000억원을 투입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KPS 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며 "더욱 정밀한 GPS 정보를 제공하고 자율주행차, 드론과 같은 4차 산업 발전에도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2024년까지 민간기업이 고체연료 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민·관 기술협력을 강화하고 나로우주센터에 민간전용 발사장을 구축하여 발사 전문산업을 육성하겠다"며 "다음달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이 과기정통부 장관에서 국무총리로 격상되는데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머지않아 세계적인 우주기업이 탄생하도록 정책적·제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030년까지 우리 발사체를 이용해 달 착륙의 꿈을 이룰 것"이라며 내년도 달 궤도선 발사, 2023년 NASA와 함께 제작한 태양관특망원경의 국제우주정거장 설치, 2029년 지구에 근접하는 아포피스 소행성 탐사계획 추진 등의 계획을 언급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