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올해 물가 상승률 '2%' 넘긴다…2011년 이후 최고치 유력

등록 2021.12.03 05:00:00수정 2021.12.03 05:54:4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계청 11월 소비자 물가 동향 분석

전년 대비 3.7% 급등 9년 11개월 만

'국제 유가 상승, 이른 김장철' 여파

2012~2020년 1%대 저물가 현상 끝

정부 "안정 수준(2%)서 관리하겠다"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12.0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12.02.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김진욱 기자 =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한국은행(2.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4%)의 최근 전망치와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제49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올해 물가가 안정 목표치인 2.0%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실제로 통계청이 같은 날 내놓은 '2021년 11월 소비자 물가 동향'에 따르면 같은 달 소비자 물가 지수는 109.41(2015년=100)로 1년 전보다 3.7%나 상승했다. 2011년 12월 4.2% 이후 9년 1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지난달 물가 급등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공업 제품(기여도 1.8%포인트(p))이다. 전년 대비 상승률 3.7% 중 휘발유·경유 등 석유류가 1.3%p를, 가공 식품이 0.3%p를 채웠다. 외식 등 개인 서비스(1.0%p)와 농축수산물(0.6%p)의 기여도도 컸다.

석유류는 국제 유가 상승세의, 가공 식품은 곡물 가격 및 일부 원자잿값 인상의 영향을 받았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갑자기 찾아온 추위에 각 가구가 김장 시기를 앞당기면서 채소 수요가 급등한 데 따른 여파로 풀이된다.

석유류, 개인 서비스, 농축수산물 3가지가 물가 상승률에 기여한 폭은 2.9%p에 이른다. 이는 전체 상승률의 3분의 2 이상(78.7%)에 해당한다. 고공 행진하는 석유류값을 끌어내리고자 정부가 유류세를 인하했지만, 이 효과는 아직 100% 반영되지 않았다.

[서울=뉴시스] 김병문 기자 =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9년 1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2일 오후 서울 한 대형 마트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다. 2021.12.02. dadazo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병문 기자 =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9년 1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2일 오후 서울 한 대형 마트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다. 2021.12.02. [email protected]


이와 관련해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국장)은 "각 주유소에 재고분이 남아 유류세 인하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는 등 제한적이었다"면서 "12월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월별 차이 탓에 통상 전년과 비교하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0.6%, 2월 1.1%, 3월 1.5% 등 1%대를 이어 가다가 4월 2.3%를 시작으로 9월까지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10월에는 9년 8개월 만에 3.2% 상승한 뒤 그 폭이 더 커졌다.

이달에는 물가 상승세가 다소 누그러질 전망이다. 유류세 인하 효과가 반영되고 김장철이 지나가면서 채소류 수요가 감소해서다. 어운선 국장은 "석유류 가격이 둔화해 (내달 소비자 물가 지수는) 이달 지표보다 낮아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제 유가 및 곡물·원자잿값 추이를 볼 때 공업 제품 자체 가격이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개인 서비스 물가도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달에도 큰 폭의 물가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올해 물가가 2.3% 오른다면 2011년(4.0%)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하게 된다. 2013년 1.3%→2014년 1.3%→2015년 0.7%→2016년 1.0%→2017년 1.9%→2018년 1.5%→2019년 0.4%→2020년 0.5% 등 장기간 저물가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저물가 현상이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은 경제의 활력 저하와 관련이 있어 물가 상승률이 낮은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정부는 물가 상승률이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안정 목표치 수준에 머물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물가 상승률 '2%' 넘긴다…2011년 이후 최고치 유력


기재부는 "이달에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면서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경기 회복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서민 장바구니 물가가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총집중하겠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