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서비스, 첨단기술로…행안부 5개 사업 38억원 투입
도봉구 미세먼지 IoT 측정·AI 대응시스템 등
국립공원 재난 관리 플랫폼…인명구조 속도
5월 사업 선정 완료…11월 시스템 구축 완료
![[세종=뉴시스]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행정안전부. 2019.09.03. ppkjm@newsis.com](https://img1.newsis.com/2019/09/03/NISI20190903_0015556178_web.jpg?rnd=20190903230000)
[세종=뉴시스]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행정안전부. 2019.09.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인공지능(AI)에 기반한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과 같이 첨단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사업이 시행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첨단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을 위한 5개 사업을 선정하고 38억원을 투입한다고 7일 밝혔다.
올해 선정된 사업은 ▲서울 도봉구 미세먼지 사물인터넷(IoT) 측정 및 AI 기반 대응시스템 ▲국립공원공단의 국립공원 스마트 재난안전 통합 플랫폼 ▲대전 소방본부의 실시간 재난 응급상황 공유 플랫폼 ▲서울 성동구·경남 김해시의 AI 기반 민원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사업이다.
행안부는 앞서 지난 1월10일부터 지난달 21일까지 공모 접수를 진행했으며 지난 2일 사업검토위원회 서류·발표심사를 거쳐 최종 5개 과제를 선정했다.
도봉구는 AI 기반 미세먼지 대응시스템을 구축해 농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해당 정보를 분석·활용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내 100여개의 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하고, 수집한 정보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광판 등 대민 서비스로 제공할 예정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전국 국립공원에 산재한 11종의 안전관리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한 ‘재난상황 공유·관리 플랫폼’을 구축한다. 전국 22개 국립공원에서 재난 발생 시 인명구조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이를 활용할 방침이다.
공단은 또 시설물 위치 및 관측정보 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3D 지리정보체계(GIS) 기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보안카메라(CCTV) 영상 이미지 분석, 드론영상 관제 등 재난상황 모니터링 등을 통해 상황 인지 및 인명구조에 활용할 계획이다.
성동구와 김해시는 복잡한 민원서식 작성의 불편 해소를 위한 ‘AI 기반 민원서식 작성 도우미’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종이가 아닌 키오스크를 통해 서식을 작성하고, 마이데이터를 활용하해 민원서식 항목을 자동으로 채우게 된다. 이를 통해 민원인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전시 소방본부는 재난상황 발생 시 민·관 정보 공유를 통한 협력과 지능형 지원 체계 확보를 위해 ‘개방형 응급상황 공유플랫폼’을 구축한다.
재난 시 상황실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AI 기반 실시간 분석·대응서비스를 구축하고, 음성인식을 통해서 신고자의 위치정보, 대응방법 등 연관정보를 분석·제공해 재난 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취지다. 여기에 번역기능을 더해 외국인 신고에 대한 실시간 통·번역 대응도 가능토록 할 예정이다.
행안부와 사업을 주관하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오는 5월 말까지 5개 기관과 함께 사업자 선정을 완료하고 11월 말께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효과성이 검증된 사업의 경우 전국적으로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고광덕 행안부 지역디지털서비스 과장은 "첨단정보기술을 활용해 국민 생활에 필수인 민원·행정 분야 편의를 높이고, 재난·안전 분야의 안전성을 강화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