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백악관 "미중정상 수주내 대화 추진…北 도발·대만 등 논의"(종합)

등록 2022.05.20 10:55:3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미, 대중 관세 완화 움직임 속 두 정상 5번째 접촉

중간선거 앞둬 관계 개선 이루기 어렵다는 지적도

[앤드루스공군기지=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한국과 일본 순방을 위해 전용기에 탑승하면서 인사하고 있다. 2022.05.20.

[앤드루스공군기지=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한국과 일본 순방을 위해 전용기에 탑승하면서 인사하고 있다. 2022.05.20.


[서울=뉴시스] 김지은 문예성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수주내 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백악관이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백악관 관계자는 바이든 대통령의 한국행 비행기 기내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앞으로 몇 주 안에 통화를 할 것이라며 "중국에 북한의 도발에 대해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고 주요 외신들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중국이 대만 문제에 있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앞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공산당 정치국원의 통화에서 이 같은 우려를 전달했다고 확인했다.

다만 중국이 러시아로부터 비축유를 사들이려 한다는 일각의 보도와 관련해서는 이 같은 조치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미국 등 서방의 제재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대만 중앙통신도 미중 정상간 대화가 수주 내 이뤄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바이든 전용기에서 발언한 백악관 관계자'가 설리번 보좌관이라고 전했다.

이런 보도와 관련한 중국 측의 공식 입장과 보도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의 대화가 실현될 경우 이는 두 정상의 5번째 접촉이 된다.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대만 문제를 비롯해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도발 등 현안 전반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도 의제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월 취임 이후 시 주석과 모두 4차례 접촉을 하고 현안을 논의했지만, 번번이 인식 차만 확인했다.

가장 최근인 지난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이뤄진 화상 회담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대응 문제가 핵심 의제였지만 양측은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할 경우 강력한 후과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시 주석은 제재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지난해 11월 첫 화상 회담에서는 대만 문제를 비롯해 인권 현안 등에서 대립각을 세웠다.

하지만 최근 바이든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대응 방안 가운데 하나로 일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 완화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혀 두 정상이 이번에는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도 중국에 부과된 보복관세가 미국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일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완화에 대해 검토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했다.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은 중국과 ‘무역 전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중국의 대미 수출에서 4분의 3에 해당하는 연간 3700억달러의 제품에 최고 25%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대해 중국도 11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제품에 대한 보복관세로 맞불을 놓았다.

이후 양국은 2020년 초 1단계 무역 합의를 통해 549개 품목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해서는 관세 예외를 적용하기로 했다. 지난 3월에는 미 무역대표부(USTR)가 관세 적용을 받는 중국의 549개 품목 중 352개에 대해 관세 부과 예외를 한시적으로 허용했다.

다만 미국 정부가 대중 관세를 인하해도 양국 관계 개선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수입관세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는 한편 미국의 대 중국 기업 제재, 미국 상장 중국기업 상장폐지 위험 리스트에 추가 등 대 중국 압박은 계속되고 있어서다.

특히 중간선거 이전 미국이 중국 신장인권문제와 대만 카드를 사용하거나 대 중국 기업 제재 수위를 높이는 양상이 전개될 우려는 남아있다고 보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