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복지장관 후보 '갭투자' 의혹…"경제적 목적 아냐" 부인

등록 2022.05.28 20:07:0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세종 아파트, 생활권 바뀌며 살지 못했다"

"큰 딸 아파트, 매매·전세 모두 적정 금액"

아동수당·연금개혁 과거 발언에 "오해였다"

[서울=뉴시스] 지난 2019년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연 국정감사에서 빌언 중인 당시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 (사진=뉴시스DB). 2022.05.2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지난 2019년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연 국정감사에서 빌언 중인 당시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 (사진=뉴시스DB). 2022.05.28.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김승희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자신과 자녀가 갭투자로 수억원대 시세차익을 챙겼다는 의혹을 부인했다.

또 과거 국회의원 시절 아동수당이나 연금개혁에 대해 윤석열 정부의 복지정책 기조와 배치되는 부정적 발언을 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오해라는 입장이다.

김 후보자는 28일 오후 보건복지부 인사청문준비단을 통해 설명자료를 내고 자신의 세종시 아파트 특별분양 관련 "경제적 이득 목적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앞서 2015년 실거주 목적으로 공직자 대상 특별분양을 받았지만, 같은 해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 현 식약처) 차장직에서 물러나 "생활권이 바뀌었다"는 고 해명했다.

이후 식약처장으로 재직하던 2015~2016년에는 해당 아파트에 세입자가 이미 살고 있었고, 2017년 5월 집을 판 이유에 대해서는 "전세 계약이 만료돼 1가구 2주택을 해소하기 위한 매도"였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자신의 모친이 갖고 있던 서울 동작구 상도동 아파트를 큰 딸이 시세가와 비슷한 가격의 전세를 끼고 구입하는 '갭투자'를 했다는 의혹도 부인했다.

김 후보자는 "당시 99세인 모친이 생활비 등 현금이 필요해 장녀가 당시 시세대로 구매를 하고 전세를 준 것"이라며 "관련 세금도 모두 적법하게 납부한 정상적 거래로, 갭투자 등 목적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가 딸에게 구입 자금을 증여했을 수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매매 금액과 전세 가격 모두 해당 아파트 시세에 상응하는 적정 금액"이었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과거 식약청 차장으로 일하던 2012년 세종시 도담동에 있는 '세종 힐스테이트' 84㎡를 분양 받았으며, 당시 분양가는 2억5400만원에서 2억8800만원이었다고 전해졌다.

김 후보자는 2014년 말 이 아파트 입주가 시작됐지만 이를 1억5000만원에 임대했으며, 이후 2017년 4억2400만원에 매각했다고 보도됐다.

또 후보자 큰 딸은 2019년 3월 후보자 모친 소유 서울 동작구 상도동 소재 112㎡ 아파트를 4억6000만원에 사고, 11일 뒤 3억6000만원 상당의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고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2018년 8월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아동수당을 100%까지 다 주자는 것은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발언했으나, 두 달여 뒤인 11월 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확대하고 경제적 수준과 상관 없이 모두 지급하자는 정반대 취지의 법안을 내놨다.

이에 김 후보자는 해당 법안을 발의한 사실을 근거로 "당시 아동수당 확대에 부정적이지 않았다"며 "취약계층 위주의 두터운 복지정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아동수당의 확대를 추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대신 운용 수익률을 올려야 한다며 지난 정부를 비판한 데 대해 "보험료율 인상만을 주요 대안으로 검토하던 당시 연금개혁 방안에 대해 비판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당시 발언은 국정과제인 '사회적 합의 속 종합적 개혁 방안 마련'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김 후보자 입장이다.

김 후보자는 "현 정부의 복지정책 방향에 따라 국민을 위한 복지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며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참고해 달라"며 "보다 상세한 내용은 인사청문회에서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