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기업 절반, "올해 가격 인상"…73%는 내년 임금 인상

등록 2022.06.27 12:00:00수정 2022.06.27 15:20:4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원재료 가격 상승에 기업 69% 가격 인상

올해 평균임금도 2~5% 인상

기업 73% "내년 임금 인상 할 것"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9년째 주요 제품 가격을 동결해온 오리온의 가격인상을 검토 중이다. 과자의 주원료인 밀가루와 팜유 가격이 큰 폭으로 뛴데다 최근 원·달러환율이 1300원까지 치솟는 등 원부자재 부담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사진은 24일 오전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진열된 오리온 과자. 2022.06.24.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9년째 주요 제품 가격을 동결해온 오리온의 가격인상을 검토 중이다. 과자의 주원료인 밀가루와 팜유 가격이 큰 폭으로 뛴데다 최근 원·달러환율이 1300원까지 치솟는 등 원부자재 부담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사진은 24일 오전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진열된 오리온 과자. 2022.06.2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전체 기업 10곳 중 7곳이 가격을 인상했으며, 아직 가격을 인상하지 않은 기업 2곳 중 1곳은 올해 판매 가격을 인상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물가 상승 등으로 올해 평균 임금이 2~5% 정도 인상됐으며, 10곳 중 7곳은 내년 임금을 인상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7일 '지역경제보고서'에 실린 '최근 물가 상승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은은 최근 물가 상승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지난달 12일부터 이번달 2일까지 전국 570개 업체 중 응답에 참여한 350개 업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내놨다.

조사 결과 설문에 응한 모든 기업은 원재료 가격이 전년 대비 상승했다고 답변했다. 이중 60%는 지난해 대비 '20% 미만', 40%는 '20% 이상'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건설업에서는 67%의 업체가 '20%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69%가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라 제품·서비스 가격을 인상했다고 응답했다. 이 중 약 3분의 2는 가격 상승분의 20% 미만으로 인상했다고 답했다. 반면 31%는 '판매 가격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답변했으며 특히 건설업은 47%가 인상을 미룬 것으로 조사됐다.
 
판매 가격을 인상하지 않은 기업들 중 53%는 '올해 내 인상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89%가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으며 '20% 이상' 인상하겠다고 응답한 업체의 비중도 67%에 달했다.

평균임금은 지난해 대비 대체로 '2~5%' 정도 인상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건설업은  평균임금 인상률이 '2% 미만'과 '5% 이상'인 업체 비중이 각각 39%를 차지하는 등 양극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임금인상률이 '2% 미만'으로 답했던 업체들의 73%는 내년에 임금을 인상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률은 '2~5%'가 가장 많았으며 건설업에서는 '5% 이상' 인상하겠다는 업체의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다수 업체들(복수응답)은 올해 2월 발발한 우크라이나 사태가 '원재료 가격 상승'(67%)과 '물류비 상승'(36%)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답변했다.

또 응답 업체의 과반 이상인 60%가 우크라이나 사태가 올해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봤으나 우크라이나 사태가 내년 이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본 경우도 41%나 됐다.

중국의 일부 도시 봉쇄의 영향에 대해서는 '수출입 지연'(40%), '원재료 가격 상승'(36%), '물류비 상승'(24%) 등을 꼽았다. 특히 봉쇄로 인한 생산활동 중단 경험이 있는 기업이 전체의 27%에 달했다. 봉쇄 영향의 지속 기간은 올해 말까지로
보는 시각이 88%로 우세했다.
 
대다수 기업들(86%)은 올해 하반기에도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향후 물가상승에 대해 '가격 인상'으로 대응하겠다는 응답이 61%로 가장 많았다. 다만 서비스업에서는 '가격 인상'(45%)과 함께 '고용 조정'(32%)으로 대응하겠다는 응답도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