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화학반응 때 생성되는 중간체 모습 최초 확인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 촉매반응 진행 과정 사진 찍듯 기록
로듐-아실나이트렌 중간체 첫 확인…고효율 촉매 개발 기여, Science誌 게재
[대전=뉴시스] 아민화 반응의 핵심 중간체 포착. IBS 연구단은 유용 물질인 질소화합물을 생성하는 아민화 반응 도중 생성되는 중간체 '전이금속-나이트렌'의 구조와 성질을 세계 최초로 실험적으로 확인했다.(사진=I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 장석복 단장(KAIST 화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이 자연에 풍부한 탄화수소를 고부가가치의 물질인 질소화합물로 변환시키는 화학반응에서 생겼다가 사라지는 중간체 '전이금속-나이트렌'의 구조와 반응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질소화합물은 의약품의 약 90%에 포함되는 생리활성에 중요한 분자로 석유·천연가스 등 자연에 풍부한 탄화수소를 질소화합물로 바꾸는 아민화 반응(질소화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촉매 개발이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IBS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은 지난 2018년 금속-나이트렌 중간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진 다이옥사졸론(Dioxazolone) 시약과 전이금속(이리듐) 촉매를 활용해 탄화수소로부터 의약품의 원료가 되는 '락탐'을 합성하는 촉매반응을 개발해 발표했었다.
당시 아민화 반응을 유발하는 핵심 중간체가 전이금속-나이트렌이라는 분석을 내놨고 이후 세계 120여 개 연구팀이 다이옥사졸론 시약을 활용한 아민화 반응 연구를 이어갔다.
하지만 계산화학적으로 구조를 파악할 뿐 전이금속-나이트렌 중간체의 모습을 직접 관찰한 사례는 아직 없다.
대부분의 촉매반응은 용액 상태에서 이뤄지며 용액 내 분자들은 끊임없이 다른 분자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전이금속-나이트렌과 같이 빠르게 반응하고 사라지는 중간체를 규명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이번에 IBS 연구팀은 고체상태의 시료에 빛을 쬐며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구조 변화를 단결정 엑스선(X-ray) 회절 분석을 통해 관찰하는 광 결정학 분석을 활용했다.
우선 연구팀은 빛에 반응하는 로듐(Rh) 기반 촉매를 새롭게 제작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새 촉매와 다이옥사졸론 시약이 결합한 복합체는 빛을 받으면 탄화수소에 아민기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전이금속-나이트렌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연구를 진행했다"며 "이 과정을 포항 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을 활용한 광 결정학 방법으로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분석을 통해 연구팀은 기존에 관찰된 적이 없는 '로듐-아실나이트렌' 중간체의 구조와 성질을 세계 최초로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또 로듐-아실나이트렌 중간체가 다른 분자와 반응하는 과정도 광 결정학으로 분석, 고체시료에서 화학결합이 끊어지며 중간체가 생성되고 중간체가 다시 다른 물질과 반응해 새로운 화학 결합을 형성하는 전 과정을 카메라로 사진 찍듯이 포착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21일(한국시간)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IF 56.9)' 온라인판에 실렸다.(논문명:Mechanistic snapshots of rhodium-catalyzed acylnitrene transfer reactions)
연구를 이끈 장석복 단장은 "그간 존재가 제시됐을 뿐 입증된 적 없는 아민화 반응의 핵심 중간체의 모습을 최초로 공개했다"며 "현재 밝혀낸 로듐-아실나이트렌 중간체의 구조와 친전자성 반응성을 바탕으로 여러 산업에서 쓰이는 차세대 촉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