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첩사, '軍 아이폰 금지' 제보한 군무원 압수수색 등 보복 수사"
작년 6월 국민동의청원 올렸던 현직 군무원 압수수색
[서울=뉴시스] 임철휘 기자 = 김형남 군인권센터 사무국장이 2일 오전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국군방첩사령부가 군무원의 처우를 개선해달라고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올린 현직 군무원을 보복 수사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4.12.0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군인권센터는 2일 기자회견을 열어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가 군무원의 처우를 개선해달라고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올린 현직 군무원을 보복 수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센터에 따르면 방첩사는 현직 군무원인 A씨를 군사기밀보호법상 군사기밀누설 혐의로 입건하고 지난 6월13일 A씨의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했다.
당국에서 군 간부와 군무원들의 아이폰 사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발표하기 전 관련 보도가 나왔는데, A씨가 '군 간부, 군무원 아이폰 사용 금지 계획 문건'을 언론사 등에 제보해 기밀이 누설됐다는 것이다. 아이폰 사용 금지 조처는 지난 10월1일부터 시행 중이다.
센터는 A씨가 지난해 6월27일 군무원의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올려 5만명 이상의 동의를 받자 방첩사가 보복성 수사에 나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형남 군인권센터 사무국장은 "A씨가 군무원 처우 개선을 주장하고 이런 움직임이 국민동의청원 등을 통해 힘을 얻자 A씨를 '입틀막'하고자 표적 수사에 돌입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 "A씨의 혐의를 입증하지 못한 방첩사는 이젠 각 부대를 돌아다니며 불특정 군무원들에게 '부대로 찾아가겠으니 협조해달라'며 찾아가 참고인 조사를 시작하며 A씨와의 접촉 사실을 확인하고 다닌다고 한다"며 "A씨를 고립시키고 군무원들을 겁박하는 효과를 거두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A씨는 한 차례 방첩사의 소환 조사를 받았으며 혐의를 모두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오는 16일 2차 소환 조사를 앞두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