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가득 학원 주변,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된다
"학원 위주 일상 반영"…6차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발표
'영유아부터 청소년까지' 단계별 식생활 프로그램도 제공
[서울=뉴시스] 지난 2월 5일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대전 서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와 정림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하여 소규모 어린이 급식시설의 위생·영양관리 지원 현황을 점검했다. (사진=식약처 제공) 2025.02.0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방과 후에는 학원을 중심으로 생활하면서 다양한 시설에서 제공하는 급식을 섭취하고, 햄버거·탄산음료 등의 잦은 섭취로 소아비만이 늘어나는 등 어린이를 둘러싼 환경 변화 요인을 고려한 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이 나왔다.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린이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고 영양 수준 향상을 위한 '제6차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50회 국정현안장관회의에서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맞는 식생활 환경 조성’ 등 제6차 종합계획의 정책 방향을 발표하고 세부적인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이번 종합계획의 주요 내용은 ▲안전한 식생활이 보장되는 환경 조성 ▲성장 여건별 맞춤형 교육 지원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 제공 ▲맞춤형 영양정보 서비스 확대이다.
우선 어린이 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학교 주변뿐만 아니라 방과 후 주로 활동하는 학원 근처까지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을 확대한다.
최근 어린이들의 많이 시청하는 유튜브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광고에 고열량·저영양 식품임을 안내하는 사업을 시범 도입하고, 어린이에게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노출을 자제하는 자율 책임 강화를 위한 협약을 식품업계와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치킨 등 어린이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먹는 식품을 어린이 기호식품으로 지정(2025년)하고 나트륨·지방 등 영양성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2026년)한다. 아울러 유행에 따라 소비가 증가하는 식품을 어린이 기호식품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관리 체계를 개선할 계획이다.
어린이 성장 여건을 반영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영유아부터 청소년까지 발달 단계에 따라 가상·증강현실(VR·AR) 등을 활용한 체험형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해 스스로 건강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초등학교 방과 후 늘봄학교 및 중학 자유학기제와 연계해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을 확대·운영하고, 식품·영양·보건 분야 진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고교 과정 교과서 출판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다문화가정 어린이의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위해 나트륨·당류 저감 교육자료를 다국어로 번역·배포하고, 부모와 함께 참여하는 요리교실 프로그램 제공 등 영양 불균형이 우려되는 어린이의 식생활 교육을 확대한다.
모든 어린이에게 안전한 급식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된다. 식약처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 급식 식재료 보관부터 배식까지 모든 공정의 온도, 세척제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2027년까지 구축해 소규모 어린이 급식소에 보급할 계획이다.
또한 식중독 사고의 주요 원인균인 살모넬라 신속진단키트를 개발하고 노로바이러스 저감 기술을 보급 식중독 예방관리를 강화한다. 아울러 소규모 급식시설의 식재료 관리 등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시설 개선이 필요한 곳을 바로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급식의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영양성분 데이터 기반으로 맞춤형 영양성분 서비스도 확대한다. 식품 QR코드 등을 활용해 어린이들이 하루에 섭취한 영양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과잉 섭취하거나 부족한 영양성분 없이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식약처는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학부모, 업계 등의 협조가 필요하다"며 "식생활안전관리의 성과를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수립된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