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금융 3사, 'AI 메카' 美샌프란 전초기지 출범…"투자기회 창출"
한화 AI센터 개소식…생명·손보·자산운용 공동운영
업계 트랜드 파악하고 현지 업체들과 투자·협력
AI 관련 투자사·스타트업 멤버십 프로그램 운영
[샌프란시스코=뉴시스] 여승주 한화생명 부회장이 지난 3일(현지시각)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화 AI 센터(HAC) 개소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한화생명 제공). 2024.12.08. *재판매 및 DB 금지
실리콘밸리, 스탠퍼드대와 인접한 샌프란시스코는 전세계 AI 기술을 선도하는 지역이다. 이곳에 공동 전진기지를 마련해 최신 AI 기술과 정보를 받아들이고 투자와 협력 기회를 찾아내겠다는 것이 한화 금융 3사의 구상이다.
한화 금융 3사는 지난 3일(현지시각)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한화 AI 센터(HAC) 개소식을 개최했다.
한화생명과 한화자산운용은 기존에서 샌프란시스코에 현지 사무소와 법인을 각각 운영하고 있었으나 현지 AI 역량 확보를 위해 힘을 합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 한화손보까지 포함한 공동 센터를 출범했다.
센터는 기존에 한화 부동산 법인이 소유하고 있던 샌프란시스코 시내 건물에 마련됐다. 김래윤 센터장을 중심으로 15명의 인력이 초기 활동에 나서며, 추후 자체 기술 인력 채용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HAC의 목표는 크게 ▲본업 강화 활동 ▲생성형 AI 시대 관련 역량 확보(AI 생태계 조성) 등 두가지로 압축된다.
구체적으로 현지 네트워크를 통해 파악한 업계 동향 등을 담은 AI 트렌드 보고서와 관련 콘텐츠를 작성한다. 예를 들어 대외적으로는 공개되지 않는 미국 현지 보험 업체 AI 활용법을 파악해 국내에 공유하는 식이다.
또한 AI 석학인 앤드류 응 스탠퍼드대 교수의 AI 펀드에 참여해 사회문제 해결과 수익 증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샌프란시스코=뉴시스] 지난 3일(현지시각)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화 AI 센터(HAC) 개소식에서 김준석(왼쪽부터) 한화생명 AI실장, 김래윤 AI센터장, 여승주 한화생명 부회장, 나채범 한화손해보험 대표, 김종호 한화자산운용 대표, 김일구 AI연구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화생명 제공). 2024.12.08. *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AI 생태계 조성은 보다 장기적인 목표다.
스탠퍼드대 AI 연구를 지원하고 참여해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통찰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현지 네트워킹으로 AI 시장에서 영향력 있는 투자자 지위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AI 관련 업체들에 업무공간과 관련 행사를 제공하는 멤버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김 센터장은 "우리 센터의 가장 큰 장점은 공간"이라며 "샌프란시스코에서는 50~70명 정도 규모를 수용하는 행사 장소가 마땅치 않다. 굉장히 많은 AI 행사가 있음에도 소규모 인원을 수용할 좋은 공간이 없다보니 우리가 이런 구축을 했고, 멤버십 제도로 운영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만들어서 성공할 확률보다는, 이곳의 많은 현지 투자자들, 스타트업과 함께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이 성공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센터 설립은 여승주 한화생명 부회장이 주도했다. 제임스 렌데이 스탠퍼드대 HAI 센터 소장과 교류하며 한화생명 AI 연구소를 먼저 만들도록 했고, 이후 금융 3사 시너지를 위해 센터 출범을 추진했다.
[샌프란시스코=뉴시스] 여승주 한화생명 부회장이 지난 3일(현지시각)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화 AI 센터(HAC) 개소식에서 김래윤 센터장의 안내를 받으며 센터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한화생명 제공). 2024.12.08. *재판매 및 DB 금지
그는 또 "이 곳에서 기술기업, 학계, 투자사 네트워킹으로 선제적으로 투자 및 협력, 연구 기회를 만드는 것이 주된 설립 목적"이라며 "샌프란시스코에서 투자, 연구, 협력을 위한 전초기지로 운영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향후 다른 한화그룹 금융계열사들의 센터 참여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한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나채범 한화손해보험 대표이사, 김종호 한화자산운용 대표이사도 참석했다. 김일구 한화생명 AI연구소 소장과 김준석 한화생명 AI실장도 각각 주제발표를 통해 연구 목표와 성과를 공유했다.
김일구 소장은 "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금융과 접목할 방안을 연구하며 미래 보험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AI연구소는 스탠퍼드대와 연구협력을 진행 중이며, AI경제연구소 출범도 목표로하고 있다.
김준석 실장은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한 챗봇 서비스를 이번달 개시하며, 보험설계사 전용 챗봇도 내년 3월 도입할 예정이라며 "AI가 제공하는 지능을 금융 본질과 잘 결합해 혁신적인 고객 경험을 만들어가겠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