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철도파업 나흘째 "교섭 재개 없어"…운행률 77.7%

등록 2024.12.08 13:36:39수정 2024.12.08 17:14: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철도노조 "노동자 파업에 군 동원, 철수해야"

기재부·국토부도 물밑접촉도 없어, 2~3차 상경투쟁 예고

[대전=뉴시스] 김도현 기자 = 철도노조 총파업이 시작된 5일 대전 동구 대전역에서 한 시민이 파업 관련 안내가 나오는 전광판을 바라보고 있다.2024.12.05. kdh1917@newsis.com

[대전=뉴시스] 김도현 기자 = 철도노조 총파업이 시작된 5일 대전 동구 대전역에서 한 시민이 파업 관련 안내가 나오는 전광판을 바라보고 있다.2024.12.05. [email protected]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전국철도노동조합의 파업이 나흘째를 맞고 있지만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과 철도노조 간 교섭재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8일 휴일을 맞아 철도이용객의 불편이 커진 가운데 국토부는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체 열차 평균 운행률은 평소의 77.7%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오전 9시와 오후 3시 대비 각 1.7%p, 8.6%p 오른 수치다.

열차별 운행률은 수도권 전철 81.3%, KTX 77%, 여객열차 72.6%, 화물열차 35% 등이며 파업참가율은 28.5%다.

파업돌입 나흘째인 이날 철도노조는 "노동자의 파업에 군대를 동원하는 건 사회적 통념상 맞지 않다"며 "법적 판례에서 보듯이 다툼도 있는 만큼 군대 철수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300여 명의 군이 대체인력으로 철도현장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노조는 "임금체불과 성과급 정상화 관련 기재부의 입장 확인도 없고 물밑접촉 등 노사교섭도 없다"며 "노조는 지침을 위반한 관리자의 부당한 지시나 요구가 있을 경우 관련자를 고발할 예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기준 그대로 기본급 2.5%인상, 성과급 정상지급, 임금체불 해소, 4조 2교대 전환, 신규개통노선 인력충원, 외주화, 감시카메라 등 노사문제지만 대부분은 기재부와 국토부 승인 사항이다"며 "기재부와 국토부가 철도파업의 원인 제공자"라고 재차 강조했다.

노조는 9일 철도파업 지지 정당 및 시민사회 문화제를 서울역에서 개최하고 11일에는 철도노조 제2차 상경투쟁, 14일에는 권역별 총파업 결의대회 또는 제3차 상경투쟁을 진행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