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첫 조정인가" 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 후 3%↓

등록 2024.12.10 09:42:46수정 2024.12.10 09:56: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비트코인, 3.89% 빠진 9만7112달러

시총 20위권 알트코인들 10%대 폭락

"비트코인 급락 후 美 기관 공격적 매수"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비트코인 가격이 대형 투자자들의 매수 행렬로 장중 1억4000만원대를 회복했다. 9일 오전 8시 40분 국내 가산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47% 오른 1억4100만원,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1.23% 상승한 10만1195달러를 나타냈으며 오후 2시 40분 기준으로는 업비트 1억4000만원대, 코인마켓캡에서는 99500달러대를 보이고 있다.  9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 내 시황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2024.12.09. mangust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비트코인 가격이 대형 투자자들의 매수 행렬로 장중 1억4000만원대를 회복했다. 9일 오전 8시 40분 국내 가산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47% 오른 1억4100만원,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1.23% 상승한 10만1195달러를 나타냈으며 오후 2시 40분 기준으로는 업비트 1억4000만원대, 코인마켓캡에서는 99500달러대를 보이고 있다.

 9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 내 시황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2024.12.0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비트코인이 10만달러를 돌파한 뒤 처음으로 급락세를 나타냈다. 변수로 우려됐던 장기 투자자들의 매도 압력이 높아지면서다. 대장주가 주저앉으면서 리플과 도지코인 등 알트코인들은 대거 폭락했다.

10일 오전 8시50분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24시간 전보다 1.40% 하락한 1억3875만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1.49% 떨어진 1억3877만원에 거래됐다.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24시간 전보다 3.89% 빠진 9만7112달러를 나타냈다.

이더리움도 밀려났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빗썸에서 4.57% 하락한 527만원을, 업비트에서는 5.15% 떨어진 527만원을 기록했다. 코인마켓캡에서는 7.60% 빠진 3694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대체 가상자산인 알트코인(얼터너티브 코인)이다. 시가총액은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시총 20위권 알트코인들은 전부 10%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특히 이달 내내 강세를 보였던 리플과 밈코인들도 무너지면서 최근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같은 시각 코인마켓캡 기준 리플은 15.25%, 에이다는 14.92%, 도지코인은 11.02%, 시바이누는 15.21% 각각 떨어졌다.

김치프리미엄이 마이너스인 역김치프리미엄이 연일 나타났다. 역김치프리미엄은 김치프리미엄의 반대말로, 가상자산의 국내 가격이 해외 가격보다 낮은 경우를 의미한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27분 기준 비트코인 김치프리미엄은 -0.27%다.

이날 시장이 급락세를 나타낸 배경은 장기투자자들의 매도 물량이 풀린 탓으로 분석된다. 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 이후 시장에서 가장 우려하던 시나리오다.

크립토퀀트 기고자 XBT매니저(XBTManager)는 9일(현지시간) "비트코인이 10만4000달러에 도달하면서 장기 투자자 트랜잭션이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매도 압력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비트코인이 9만달러까지 하락했다가 반등한 이후에도 장기 투자자 트랜잭션이 증가한 것은 조정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다만 이 가운데 큰손인 미국 기관 투자자들은 공격적 매수에 나서고 있다.

크립토퀀트 기고자 맥디(MAC_D)는 이날 "마이너스를 기록하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이날 비트코인 급락 이후 크게 반등했다"며 "이는 소액 투자자 비중이 높은 바이낸스에서 패닉셀이 발생하면 미국 기관 투자자들이 공격적 매수 전략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서 집계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78점을 기록하며 '극단적 탐욕(Extreme Greed)'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78·극단적 탐욕)과 동일한 수치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공포를,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각각 의미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