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기자수첩]힘 받는 ASF 北유입설…정부, 안이한 대처가 피해 키웠나?

등록 2019.10.12 14:51: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내 2차 감염 우려…추가 확산 막는 데 감염 경로 파악 중요

지금이라도 놓치고 있는 건 없는지 돌아봐야 전국 확산 막아

[기자수첩]힘 받는 ASF 北유입설…정부, 안이한 대처가 피해 키웠나?


【세종=뉴시스】위용성 기자 = 지난 11일 기준 살처분된 돼지는 모두 15만4653마리다. 전국의 사육 돼지 수는 1132만 마리(올 6월 기준). 전국 사육돼지 중 1%를 불과 3주 만에 땅에 묻은 셈이다. 이날엔 또 연천군에 대한 돼지 전량을 없애기로 해 이 숫자는 더 늘어날 것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서 첫 발생한 이래 한 달 가까이 지나가고 있지만 전파경로는 아직 명확치 않다. 북한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역학조사를 거쳐야 해 아직은 확정지을수 없다. 통상 감염경로를 찾는 역학조사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과거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와 달리 이번 ASF의 경우엔 또렷한 게 없는 상태다.

최초 발생 당시 가장 많이 제기된 가능성은 북한 유입설. 북한의 야생 멧돼지가 남하해 전파했을 것이라는 추정이었다. 1차 발생 농장인 파주 연다산동이 북한과 접경지역이었기 때문이다. 2차 발생은 연천 백학면에서 나왔다. 파주 발생 농가보다 더 북쪽이다.

이후 3차부터 김포에서 강화를 거쳐 다시 파주로 되돌아오기까지, 모든 발생지가 경기북부지역이나 그 옆 인천이다. 북한에서 넘어온 것임을 계속해서 지목하고 있었던 것. 더욱이 12일 DMZ 접경지역인 경기 연천과 강원도 철원지역의 야생 멧돼지에서 ASF가 검출되면서 북한 유입설은 점차 확신으로 바뀌는 중이다. 연천에서는 살아있는 멧돼지에서 처음 발견됐다.

때문에 DMZ에서 ASF 바이러스가 남하했다고 보는 것이 "단순히 가능성 중 하나를 넘어서 합리적 의심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잔반 급여, 해외 발생국발 불법 휴대축산품 등 여타 유력 경로들이 명확하게 들어맞지 않는 상황이라 더욱 이 가설에 힘이 실린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의 야생멧돼지가 비무장지대(DMZ) 철책을 뚫고 직접 넘어 오긴 힘들더라도 오염된 멧돼지 사체나 배설물에 남겨진 바이러스가 몸이 작은 야생동물이나 곤충, 하천수 등에 묻어 내려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ASF 바이러스는 분변이나 혈액, 냉동된 고기 등 가축의 몸 밖에 있을 땐 오랜 기간 생존이 가능하고, 환경에 따라 최대 1000일까지 살수 있다고 한다. 다만 반론도 만만찮다. 파리나 모기 등 곤충이 바이러스를 퍼 나를 정도의 매개체라고 보기가 힘들다는 학계의 견해다.

하지만 어느 쪽이 됐건 정부가 북으로부터 유입 가능성에 일부분 안이하게 대처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은 피하기 힘들어 보인다. 이미 북한 전역에 ASF가 광범위하게 퍼졌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DMZ를 통한 유입 위협은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이다. 역학조사가 끝날 때까지 몇 가지 특정 경로만 쫓아서도 안 되지만, 반대로 어느 한 경로라도 소홀히 해선 안 되는 것인데, DMZ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꾸준히 요구됐던 북한과의 방역협력에 있어서 정부는 이제껏 "북측이 대답이 없다"며 두 손 들고만 있었다. 그러던 정부가 급해진 건 지난 2일 연천군 DMZ에서 ASF 바이러스가 묻은 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되면서다. 이틀 뒤인 4일, 국방부와 산림청 등은 DMZ 안의 군사분계선(MDL) 500m 이남부터 민간인통제선(민통선) 구간에 대대적인 헬기 방역을 벌이기 시작했다. 이미 최초 발생일로부터 3주 가량이나 지난 뒤다. 그러다 오늘 또 DMZ 이남의 접경지역 멧돼지에서 ASF가 발견됐다. 그것도 살아있는 멧돼지에서 말이다.

북한이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ASF 발생을 공식 보고한 건 올 5월이지만 정부는 '평화의 길' 파주와 철원 구간 운영을 9월이 돼서야 닫았다. 북한에서 전파 위협이 제기되는 와중에도 차량이나 도보 이동을 방치하는 등 느슨한 태도를 보였다는 지적이다. 

최근 확진된 14차 파주 농장에는 '수평 전파'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최초 발생일로부터 최장 잠복기(19일)를 넘긴 시점에서 시차를 두고 다시 바이러스가 확산됐기 때문이다. 외부 바이러스가 국내로 유입되지 않아도 이미 국내서 국내로 옮겨 붙는 2차 감염이 시작된 것일 수 있다는 가설이다.

가축질병의 추가 확산을 막는 데에는 감염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지금이라도 어느 것 하나 정부가 놓치고 있는 건 없는지 돌아봐야 전국 확산을 막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