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동산 세대 전쟁에 천장 뚫린 서울 집값…신고가 경신 지속

등록 2020.07.07 15:27: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금 아니면"…6·17대책, 예정 없던 매수세 부추겨

30대는 '패닉 바잉'…40~50대, 상급지 이주 기회 활용

집값에 생계·노후 다 걸린 60대는 자녀 몫 챙기려 '헉헉'

기회 못 잡은 무주택자 '발 동동' 대출 막혀 '불만 폭주'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서울 송파구 롯데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2019.06.21.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서울 송파구 롯데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2019.06.2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인준 기자 = 정부가 6·17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지만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의 열기는 나날이 더해가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 곳곳에서 아파트값이 연일 신고가 경신을 지속하면서 규제 효과는 기약이 없는 상태다.

특히 조급증에서 오는 30대의 내 집 장만을 위한 과감한 매수세가 수도권 집값 상승의 기폭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발판 삼아 상급지로 이주하려는 수요도 꾸준한 상황이다.

반면 이 같은 상황에서 30~40대 무주택자들의 박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예정에 없던 매수세를 유발하면서 매매시장의 수급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

60대 이상은 집값에 노후는 물론 생계를 저당 잡힌 상황에서, 30대 자녀의 내 집 장만에도 힘을 보태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도 서울 전역에서 신고가 경신 행진이 그치지 않고 있다. 특히 대출 규제가 막힌 15억원 초과 시장의 경우 거래 두절이 심각하지만 중저가 시장은 아직도 열기가 뜨겁다.

서울 성북구 돈암동 길음역금호어울림센터힐은 지난 4일 전용 84.8㎡가 9억2500만원(5층)에 거래돼, 9억원을 돌파했다.

종전 최고가 8억5000만원보다 7500만원을 웃도는 수준으로, 현 시세가 9억원을 넘어설 경우 대출 규제가 커지는 불이익이 있음에도 매수세는 계속되고 있다. 이와 함께 양천구 목동 현대 전용 57.84㎡도 이달 1일 9억1500만원에 손 바뀜이 일어나면서, 종전 최고가(8억5000만원)를 넘어 9억원을 돌파했다.

이밖에도 기존 최고가가 4억~5억원대였던 서울 중구 충무로4가 진양상가 전용 107.9㎡(6억1000만원), 광진구 자양동 와이엠 프라젠스파 56.13㎡(6억1000만원), 금천구 시흥동 관악산벽산타운5 전용 114.84㎡(6억원) 등이 6억원 고지를 돌파하며 최근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 불어 닥친 열기를 방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각종 규제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열기를 더하는 이유로 역설적이게도 '규제 영향' 꼽는다.

수도권 전체에 대한 전방위적인 규제가 '기왕이면 서울'이라는 그릇된 신호를 유발해 투기심리가 다시 서울로 회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30대의 과감한 매수세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의 경우 사회 초년생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모아둔 자산이 많지 않아 주택 매입에 소극적인 계층이었으나 최근 몇 년간 적극적인 매수층으로 돌아섰다. 실제로 올해 1~5월 서울 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한 연령대는 30대로 전체의 30.7%를 차지한다.

6·17 대책 이후에도 30대의 매수세는 그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에서 6·17 대책 발표 직후인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6일까지 약 20일간 집합건물(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을 매수인 연령대별로 보면 40대(40~49세)가 4537건으로 가장 많지만, 30대(30~39세)도 4505건으로 불과 32건 차이에 불과했다. 이어 ▲50대 3834건 ▲60대 2510건 ▲20대 1083건 ▲70대 이상 903건 등이다.

최근 몇 년간 집값이 치솟으면서 '영끌 대출'(영혼까지 끌어 모은 대출)이라도 해서 집을 사야 한다는 강박으로 30대의 매수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아니면 주택 매입 기회는 없다'는 공포감이 매수세를 부추기는 이른바 '패닉-바잉'(Panic-buying) 현상이다.

반면 30대의 매수 행렬의 결과는 집값 상승으로 나타나 집주인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

같은 기간 집합건물의 매도인을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3557건, 60대가 3547건으로 가장 많고, 40대가 3316건, 70세 이상이 2028건 등 순으로 집계됐다. 30대는 1716건, 20대는 197건에 그쳤다.

40~50대의 경우 매수가 매도보다 많아 기존의 주택을 팔고 새로운 주택을 매수하는 상급지로 이주하는 모습이 관측되고 있다. 사실상 30대 '큰 손'의 등장으로 서울 주택시장에서 40~50대가 기존 집을 팔고 다시 사는 연쇄적인 과정에서 집값 상승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 된다.

다만 60대 이상의 경우 매매보다 매수가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에 10년 이상 보유한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유예를 결정한 데 따른 영향도 있지만, 업계에서는 30대의 과감한 매수세가 어디서 기인한 것이 보여주는 지표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6·25전쟁 이후 태어난 베이비부머의 자녀 세대인 에코 부머(1979년~1985년생)인 30대 중후반에서 40대 초반이 주택 시장에 주축이 된 배경이 부모 세대의 현금 지원이 있어서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출 규제가 막히고, 청년 실업이 장기화되고 있는 시대에 30대의 과감한 주택 매수세는 상식적으로 납득이 어려울 정도"라면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모 찬스'가 있음을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수도권 주택 시장이 혼란의 양상을 거듭하자 무주택자의 박탈감이 커지면서 매수세를 부추기는 악순환이 연출되고 있다.

최근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주택 매수에 대해 문의하는 30~40대 무주택자들의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대부분은 수도권 조정대상지역 내 집 장만 계획을 털어 놓으며 조언과 주변 사람들에 대한 박탈감, 대출 규제 상황에 대한 한탄 등을 늘어놓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정부는 이에 그동안 자금력과 가점 부족으로 청약 시장에서 소외당해온 30대 후반~40대 초반의 내 집 마련 기회를 넓히기 위한 추가 대책을 마련 중이지만 실효성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한 부동산 시장 전문가는 "사실상 최근 집값은 30~40대 젊은 층이 다 올려놓고 있는 데, 정부는 이들의 주택 장만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딜레마에 빠진 상태"라며 "부동산 시장이 투기 시장처럼 변질되면서 유주택자와 무주택자간의 계급투쟁의 장으로 전락한 상황에서 젊은 층의 불안감을 잠재울 만한 마땅한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