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로나 리셋]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美英中 속도전

등록 2020.09.06 06:05: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 등 9곳 임상 3상 진입

미·영·중 백신 개발 속도전…러시아도 경쟁 가세

바이러스벡터·RNA 등 다양한 신기술 총동원

"연내 출시 가능" vs "조기 개발 확률 낮아" 의견 팽팽

[서울=뉴시스]김명원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가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본원을 찾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현장점검하고 있다. 2020.08.2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명원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가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본원을 찾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현장점검하고 있다. 2020.08.2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각국의 속도 경쟁에 불이 붙고 있다. 백신은 코로나19의 확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꼽힌다. 각국 연구기관과 다국적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최근 속속 3상 임상시험에 진입하면서 조기 공급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의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추적기(Coronavirus Vaccine Tracker)를 보면 지난 3일 기준으로 ▲미국 모더나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옥스포드대학 ▲미국 화이자·독일 바이오테크 ▲중국 칸시노 바이오 ▲중국 시노백 바이오테크 ▲중국 우한생명과학연구소 ▲중국 시노팜 ▲러시아 가말레야 연구소 ▲호주 머독 아동연구소 등 9곳이 임상시험 3상 단계에 있다.

현재까지 백신 개발에 있어서는 미국과 영국이 가장 앞서나가는 모습이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는 현재 미국, 영국,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백신 후보 물질(AZD1222)에 대한 임상 3상을 시작했다. 옥스퍼드대는 지난 7월 발표한 초기 임상시험 결과에서 성인 1077명을 대상으로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한 결과 참가자 전원의 체내에서 보호 중화항체와 면역T세포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화항체와 T세포는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9월 중 3상 시험에 대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고했다.

미국의 제약·바이오 업체들도 백신 개발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모더나는 지난 7월 뉴잉글랜드의학저널을 통해 백신 후보 물질(mRNA-1273)의 임상 1상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모더나는 1상에서 참가자 45명 전원에 대한 항체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화이자도 독일 바이오테크와 지원자 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두번째 초기 임상시험에서 중화항체 형성 등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중국과 러시아도 자체적으로 백신 개발을 진행하며 미국과 영국을 추격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도 초기 백신 연구에서 앞서 있던 강점을 살려 임상 3상 대열에 합류했다. 칸시노 바이오는 중국군 연구진이 공동 개발하고 있는 백신 후보물질(Ad5-nCoV)이 임상시험에서 높은 수준의 면역 반응을 일으켰다고 발표했다. 칸시노 바이오는 지난달 중국군 특수상비약품 인가를 받아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중국은 또 중국 당국은 시노백과 시노팜의 백신 후보물질들에 대해 임상 3상이 끝나기 전에 투여할 수 있도록 긴급 사용승인을 내린 상태다.

러시아도 백신 개발의 성공을 자신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르면 5일부터 가말레야 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백신 스푸트니크V의 임상 3상 시험을 시작한다.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딸이 임상시험에 참여했을 정도로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뛰어나다고 홍보하고 있다. 스푸트니크V는 이미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투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자체 개발 백신에 있어서는 주요국에 비해 속도가 더딘 편이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제넥신이 지난 6월 임상 1·2상을 시작했다.  정부는 내년 중 개발을 목표로 업체들을 지원하고 있다. 제넥신과 함께 SK바이오사이언스, 진원생명과학이 정부의 임상 시험 지원 대상에 포함돼 개발을 진행 중이다.
[옥스퍼드=AP/뉴시스]23일(현지시간) 영국 옥스퍼드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미생물학자 엘리사 그라나토(왼쪽)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험용 백신을 맞고 있다. 옥스퍼드대학 연구진은 이날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자원자 800여 명 중 2명에게 처음으로 투약했다. 2020.04.24.

[옥스퍼드=AP/뉴시스]23일(현지시간) 영국 옥스퍼드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미생물학자 엘리사 그라나토(왼쪽)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험용 백신을 맞고 있다. 옥스퍼드대학 연구진은 이날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자원자 800여 명 중 2명에게 처음으로 투약했다. 2020.04.24.



◇바이러스 벡터, DNA, RNA 등 다양한 종류의 백신들

국내외 제약·바이오 업체들은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 벡터 백신 ▲불활화 백신 ▲DNA 백신 ▲RNA 백신 ▲재조합 백신 ▲바이러스 유사 입자 백신 등 다양한 종류의 코로나19 백신이 개발 중이다.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하는 방식이다.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와 중국의 칸시노가 이 유형의 백신을 만들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침팬지 아데노바이러스를 운반체(벡터)로 쓴다. 칸시노는 사람 감기 바이러스인 아데노바이러스 타입5를 벡터로 이용한다.

DNA 백신과 RNA 백신은 유전자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 유전자는 바이러스가 인체에 달라붙을 때 쓰는 돌기(스파이크 단백질)를 만들어낸다. 유전자를 이중 나선 구조인 DNA로 넣느냐 단일 가닥인 RNA로 넣느냐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된다. 모더나와 화이자는 RNA 백신을, 미국 바이오기업 이노비오와 국내 기업 제넥신은 DNA 백신을 개발 중이다.

재조합 백신은 바이러스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만들어 투여하는 방식이다. 미국 제약사 노바백스 등이 이 기술을 쓴다. 불활화 백신은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투여하는 전통적인 기술로, 중국의 시노백과 시노팜 등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가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 세미나가 열린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개발 전망'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0.07.06.   amin2@newsis.com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가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 세미나가 열린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개발 전망'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0.07.06.   [email protected]



◇"백신 출시 연내 가능" vs "조기 개발 힘들 것"

그렇다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는 얼마나 긴 시간이 걸릴까.

일반적으로 백신 개발에는 최소 2년에서 10년 가량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상 시험에서는 수만명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각국은 제약 업체들을 지원하고 규제를 완화하는 등 개발 기간을 줄이기 위한 조치들을 내놓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시험 중인 백신의 효능이 플라시보(가짜약)에 비해 50% 이상 높다면 출시를 허가하겠다는 입장이다. 빠른 백신 개발을 위해 기존 승인 기준(70%)보다 문턱을 낮췄다.

연내 개발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업체들도 있다. 임상 3상에 걸리는 시간이 3~6개월로 매우 짧다고 가정하면 연내에 개발이 완료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올해 9월 3차 임상시험 예비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국에서, 10월엔 미국에서 백신이 출시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백신 개발은 성공 확률이 매우 낮고 시간도 오래 걸려 조기 출시를 낙관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전문가들의 보고서를 보면 1상부터 시작해서 (성공할 확률이) 7% 정도라고 한다"며 "정말 중요한 것은 (대규모로 진행되는) 3상이고, 3상에서 주저앉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1·2상에서) 항체가 형성되고 중화항체까지 나왔다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실제 방어 효과가 얼마나 될지는 3상에서 봐야 한다"며 "또 치명적인 부작용은 1상, 2상에서 발견할 수 없다. 안전성과 실제 방어 효과를 입증하는 일이 남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백신이 출시되더라도 실제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서울대 교수)은 “현재 개발 중인 많은 백신들이 바이러스를 크게 예방하진 못하고 있다"며 "코로나19 백신을 학수고대하고 있지만 확산을 100% 예방하고 사망률을 줄이는 백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오 위원장은 “상기도와 하기도는 우리 몸 밖에 있는데 백신으로 만들어진 세포가 상기도 표면 위로 나와야 하지만 세포는 우리 몸 표면으로 나올 수가 없다”며 “(독감 등) 호흡기 백신은 늘 다른 백신만큼 완벽한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게 통상적”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