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최소 절개로 자가 힘줄 채취해 이식…재생 우수 입증"

등록 2020.12.01 10:09: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이호원 교수 논문

[서울=뉴시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이호원 교수. (사진=강남성심병원 제공). 2020.12.01.

[서울=뉴시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이호원 교수. (사진=강남성심병원 제공). 2020.12.01.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장비골건 부위에서 최소 절개로 채취한 자가 힘줄을 손상 부위에 성공적으로 이식한 사례가 국제 유명 학술지에 게재됐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은 1일 정형외과 이호원 교수의 건(힘줄) 재생 관련 연구가 SCI급 학술지인 미국스포츠의학회지(AJSM·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8월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AJSM은 정형외과 관련 SCI급 학술지 중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이다.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과격한 스포츠 활동을 하거나 넘어지는 사고로 인해 아킬레스건, 십자인대 파열 등 힘줄·인대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힘줄과 인대가 손상되면 봉합술로도 치료를 하지만 시기를 놓치거나 손상의 경우가 심하면 다른 부위의 힘줄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다.

힘줄·인대 재건술을 시행할 때는 타인에게 기증받은 동종 힘줄과 환자 본인의 몸에서 채취한 자가 힘줄을 사용한다.

환자 입장에서 동종 힘줄은 비용이 비싸고 다른 사람의 것이라는 거부감이 크다는 단점이 있어 자사 힘줄을 활용해 이식하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돼 왔다.

하지만 절개 부위도 크고 합병증이 많아 동종 힘줄 이식보다 우수하지 못했다.

이에 이호원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최소 절개로 하는 새로운 자가 힘줄 부분 채취 방법을 찾았다.

이 교수팀은 종아리 외측 부위의 장비골건에서 최소 절개로 힘줄의 일부분을 채취했다. 장비골건은 정강이 바깥쪽 부분에 위치한 굵고 강한 힘줄로 피부 아래층에 위치해 있어 접근이 쉽다는 점에 주목했다.

장비골건 위아래 부위에 1.5㎝의 작은 피부 절개 후, 주변 신경과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근막 아래에서 힘줄을 채취했다.

이후 채취한 힘줄을 손상 부위에 성공적으로 이식했고 채취한 장비골건 부위를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장비골건이 다시 재생됨과 동시에 합병증의 최소화를 확인했다.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호원 교수는 "지금까지 자가 힘줄을 이용한 재건술은 합병증이 발생하고 회복도 더딘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최소 절개로 자가 힘줄을 채취했고, 힘줄 재생의 우수함을 입증해 내 기존의 문제점들이 크게 보완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