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고로 오른팔 잃은 60대 男, 뇌사자 팔 이식 성공

등록 2021.01.21 15:29:27수정 2021.01.21 15:31: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18년 8월 손·팔 이식 법제화 후 첫 수술

"상태 좋아 재활치료 후 일상복귀 기대"

[서울=뉴시스] 수부이식 수술 (사진= 장동수 studioMID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수부이식 수술 (사진= 장동수 studioMID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2년 전 작업 중 사고로 오른팔을 잃은 60대 남성이 국내에서 뇌사자의 팔을 이식 받았다. 2018년 8월 손과 팔 이식이 법적으로 허용된 이후 첫 수술이다.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수부이식팀 성형외과 홍종원 교수, 정형외과 최윤락 교수, 이식외과 주동진 교수는 뇌사기증자의 팔을 업무 중 오른팔을 다친 62세 남성 최모씨에게 이식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최씨는 2년 전 작업 중 오른쪽 팔꿈치 아랫부분이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다. 몇 개월 후 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를 찾은 최씨는 의수 등 추가 치료를 받았지만 팔 이식을 원했다. 최씨는 1년여간 정형외과와 정신건강의학과 평가를 거쳐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 장기이식 대기자로 등록했다.

이후 이달 초 심정지로 뇌 손상이 발생해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에 장기 및 조직을 기증한 뇌사자의 팔을 이식받게 됐다. 손·팔 이식은 절단된 후 최소 6개월이 지나야 가능하다. 또 심장과 간, 신장, 폐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장기를 기증하기로 한 뇌사자에게서만 손·팔을 기증받을 수 있다.

수술은 지난 9일 오후 1시30분부터 약 17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손·팔 이식은 뼈와 근육, 힘줄, 동맥, 정맥, 신경, 피부를 접합하는 고난도 수술이다. 혈액형이나 교차반응 등 이식에 필요한 면역검사 외에 팔의 크기나 피부색, 연부조직 상태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대상자를 구하기 힘들다.

의료진은 최씨의 남아있는 팔 조직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이식 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수술은 성공했고, 최씨는 면역 거부 반응이나 다른 부작용 없이 건강한 상태다. 재활치료도 곧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수술은 성형외과팀과 정형외과팀의 협업으로 진행됐다. 홍 교수팀이 최씨의 아래팔 절단부에서 피부를 들어올리고 이식 팔의 혈관을 연결할 동맥과 정맥을 찾아 준비했다. 이후 최 교수팀이 뼈와 힘줄, 근육, 신경을 박리했다. 그 사이 수술과 마취시간을 줄이기 위해 성형외과팀에서 기증된 팔의 혈관과 신경 박리에 들어갔다.

이어 최씨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진행됐다. 정형외과팀은 정상 팔과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미리 계측해 놓은 길이에 맞춰 뼈를 고정하고 이식한 팔의 손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손등쪽 힘줄을 봉합했다. 최 교수는 “아무리 이식된 팔이라도 정상인 팔과 되도록 길이가 같아야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면서 “힘줄과 신경은 손의 정상적인 기능 회복을 위해 무엇보다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성형외과팀은 팔에 혈류가 통하게 바로 혈관 일부를 연결했다. 혈류가 잘 통하는 것을 확인한 뒤 정형외과와 성형외과팀이 교대로 남은 힘줄과 신경, 혈관들을 연결했다. 마지막으로 혈류가 잘 가는 피부상태를 평가하면서 피부를 봉합했다.

홍 교수는 “수술 후 이식받은 팔에 피가 잘 통해야 이식한 팔의 정상 회복을 기대할 수 있어 수술 중에도 수 차례 확인을 거듭했다”고 말했다.

수부이식팀은 이번 수술을 위해 2018년 12월부터 수부이식을 준비했다. 홍 교수는 세브란스병원 수술간호팀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수술해부교육센터와 협력해 안면이식팀을 준비한 경험을 살려 수부이식팀을 구성했다.

장기이식센터 코디네이터팀, 마취통증의학과 김혜진 교수, 수술간호팀, 수술해부교육센터 등 많은 부서들이 팔 이식 수술을 지원했다. 특히, 2018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수부이식을 시행한 대구 W병원과 이식외과 주동진 교수도 힘을 보탰다.

최 교수는 “손이 가지고 있는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을 최대한 살려 밥을 먹고, 씻고, 옷을 입고, 문손잡이를 돌릴 수 있는 등의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수술의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