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세월호 유족들, 눈물 삭발…"검찰, 주요 의혹 수사 안해"

등록 2021.01.22 16:05:05수정 2021.01.22 16:08: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4.16협의회 등, 청와대 분수대 앞 기자회견

"17개 혐의 중 2건만 기소…13건 무혐의"

"이제 文정부가 답할 때"…진상규명 촉구

[서울=뉴시스] 김승민 수습기자 =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의혹 관련 재수사에 나섰던 검찰이 고(故) 임경빈군 구조 지연 의혹 등을 무혐의 처분한 가운데, 유가족들이 검찰 특별수사단(특수단)의 수사를 규탄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책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 이후 삭발식에 동참한 일부 유가족들은 서로를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다. 2021.01.22. ksm@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승민 수습기자 =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의혹 관련 재수사에 나섰던 검찰이 고(故) 임경빈군 구조 지연 의혹 등을 무혐의 처분한 가운데, 유가족들이 검찰 특별수사단(특수단)의 수사를 규탄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책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 이후 삭발식에 동참한 일부 유가족들은 서로를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다. 2021.01.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민기 기자, 김승민 수습기자 =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의혹 재수사에 나섰던 검찰이 고(故) 임경빈군 구조 지연 의혹 등을 무혐의 처분한 가운데, 22일 유가족들이 검찰 특별수사단(특수단)의 수사를 규탄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책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일부 유가족들은 기자회견 이후 삭발식을 하면서 서로를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다.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와 4·16시민동포 등 단체 관계자들 및 유가족들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 가족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약속 이행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유가족 및 관계자들은 "검찰 특수단은 세월호 유가족들과 사참위의 수사 의뢰로 제기된 17개 혐의 중 2건만 기소하고 나머지 13건은 무혐의 처리했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국민들이 세월호 참사에 대해 갖고 있는 주요 의혹들에 대해 전혀 수사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검찰 특수단은 '몰랐다'나 '기억이 안 난다' 등과 같은 피의자들의 일방적인 진술과, 당시 상황을 완전히 무시한 채 소위 전문가들의 입을 빌려 경빈이의 생존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해괴한 논리로 경빈이에 대한 응급 조치를 방해한 해경 전원에게 무혐의 처분을 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의 구조, 수습 방기 문제를 드러낼 계기였던 경빈이 사안을 오히려 면죄부의 근거로 삼은 파렴치 그 자체"라며 "특히 피의자의 일방적 진술에만 의존하고, 사참위 조사 때와는 다르게 진술을 바꾼 피의자와 참고인들의 진술을 그대로 인정한 특수단은 처음부터 진상 규명의 의지가 없었음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제 문재인 정부가 답을 해야만 한다"며 "만약 (문 대통령이) 특수단의 수사 결과가 미흡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면 이 수사 결과는 문 대통령의 뜻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는 세월호 참사로 촉발된 촛불혁명으로 세워진 문재인 정부가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의 사명을 헌신짝처럼 내버렸음을 뜻한다"며 "청와대와 정보기관 등 권력기관에 대한 제한 없이 조사와 수사에 임하도록 책임지겠다는 것을 문 대통령이 직접 표명하고 약속해야 한다"고 했다.

유가족 및 단체 관계자들은 "세월호 참사 7주기까지 성역 없는 진상 규명을 위해 공동 집중행동에 나설 것"이라며 오는 23일 서울 광화문에서 청와대까지의 피케팅을 통한 진상규명 촉구를 예고했다.

검찰 특수단은 지난 19일 세월호 참사 관련 최종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임경빈군 구조 지연 의혹, 세월호 초기 수사 및 감사 외압 의혹 등을 무혐의 처분했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17건(중복 제외)의 세월호 참사 관련 의혹을 수사해 20명을 기소하고, 15건을 불기소처분 및 처분 보류했다.

특수단은 2019년 11월11일 출범한 이후 1년2개월여 동안 총 201명을 대상으로 269회에 걸쳐 조사하는 한편, 17개 기관을 압수수색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