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아하!코로나]체육관vs병원, 백신접종 두고 '온도차'

등록 2021.01.28 12:00:00수정 2021.01.28 16:51:3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월부터 예방접종센터·보건소 등서 접종

"병원서 접종하면 업무마비...감염 우려 커"

"체육관 접종 인력확보·응급조치 어려워"

[평택=뉴시스] 김종택기자 = 다음달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국내 도입이 예정된 가운데 26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한국초저온 물류센터에서 관계자가 코로나19 백신 초저온 보관소를 점검하고 있다. 2021.01.26.jtk@newsis.com

[평택=뉴시스] 김종택기자 = 다음달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국내 도입이 예정된 가운데 26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한국초저온 물류센터에서 관계자가 코로나19 백신 초저온 보관소를 점검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정부가 이르면 2월부터 체육관 등 대형 시설을 활용한 예방접종센터와 각 지역 보건소, 민간 병원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계획이다. 첫 접종 대상자인 수도권 소재 의료기관 의료진은 국립중앙의료원에 마련된 중앙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하고, 이후 백신을 중부와 호남, 영남 권역 감염병전문병원에 설치된 거점예방접종센터와 코로나19 전담병원 등으로 배송해 의료기관별로 예방접종을 시행한다. 국민 대부분은 정부에서 마련한 체육관 등 접종센터 250곳에서 백신을 맞게 된다.

그렇다면 어떤 장소가 백신 접종에 더 안전하고 효율적일까. 이번 [아하! 코로나]에선 접종장소를 두고 엇갈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정리해봤다.

체육관, 대규모 접종·거리두기·백신 냉동고 가동 유리

우선 백신 접종 장소로 지자체 산하 실내체육관 등 대형 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있다. 대규모 접종과 거리두기를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다.

전병율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병원에서 접종을 하면 많은 사람들이 몰려 병원 업무가 마비될 수 있다"며 "보건소별로 백신을 하나씩 지정해 보관하고 근처 실내체육관에서 접종을 하도록 해야 혼선이 생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반 병원에서 접종을 하게 되면 대기 공간이 비좁은 데다 줄서서 기다리는 사람들도 많아 병원 내 환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될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특히 대학병원 같은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일반 진료를 보러오는 환자와 코로나19 백신 접종 환자가 뒤섞일 수 있어 감염 우려가 더 크다는 게 전 교수의 설명이다.

접종 전후 대기시설을 확보하고, 영하 70도와 영하 20도에서 각각 보관해야 하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관리에 필요한 초저온 냉동고를 24시간 가동할 수 있는 자가발전시설을 보유하기 쉽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병원, 접종 효율 높고 인력확보·응급처치 유리

반면 인플루엔자(독감)접종처럼 보건소, 병원 등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병원 내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력을 대거 동원하기 쉽지 않은 데다 접종 시간도 오래 걸리고 접종 후 이상 반응이 있는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도 어렵다는 이유다.

마상혁 대한백신학회 부회장은 "체육관에서 접종하면 접종자 1명이 접수부터 문진표와 동의서 작성, 접종, 접종 후 대기까지 적어도 40~50분은 걸린다"며 "하루 2000명을 접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체육관 등 접종센터별로 하루 최소 600명을 접종해 모두 1500~2000명을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백신 접종에 필요한 시설을 갑자기 갖추고, 의료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체육관에서 일할 의료진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것도 시행착오가 예상된다는 게 마 부회장의 설명이다.

체육관의 환기가 잘 되지 않을 경우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면 오히려 집단 감염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백신 접종 후 중증 알레르기 증상 등이 나타났을 때 바로 조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마 부회장은 "코로나19 백신 접종도 독감 접종처럼 의료진 교육이 어느 정도 돼 있고 접종 후 이상반응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1,2차 의료기관에서 실시돼야 한다"며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간 긴밀한 소통을 통해 만일에 발생할 시행착오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