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중국,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에 관심…실현 가능성은?

등록 2021.03.29 08:58: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선전=AP/뉴시스】7일(현지시간) 중국 광둥성 선전의 공공 전기충전소에서 전기 택시들이 충전하고 있다. 선전시는 세계 최초로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전기차로 바꾼다는 야심 찬 계획 아래 모든 시내버스를 이미 전기차로 바꿨으며 운행 택시 2만1689대 중 99%가 전기 택시라고 밝혔다. 2019.01.08.

【선전=AP/뉴시스】7일(현지시간) 중국 광둥성 선전의 공공 전기충전소에서 전기 택시들이 충전하고 있다. 선전시는 세계 최초로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전기차로 바꾼다는 야심 찬 계획 아래 모든 시내버스를 이미 전기차로 바꿨으며 운행 택시 2만1689대 중 99%가 전기 택시라고 밝혔다. 2019.01.08.

[서울=뉴시스] 조인우 기자 = 중국이 꾸준히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에 대한 투자와 사업화를 시도하고 있다.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가 시장의 주류가 되기에는 아직 여러 장애물이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가운데 중국이 이같은 사업 모델을 시도하는 배경과 전략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산업동향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는 잔존 용량이 감소한 구동 배터리 팩을 빼고 충전된 다른 배터리 팩을 장착해 몇 분 만에 충분한 주행거리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앞서 이스라엘의 베터플레이스, 르노, 테슬라 등이 유사한 모델을 시도했으나 본격적인 사업화에는 실패했다.

중국은 그러나 기업·정부 합작으로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니오·SAIC·BAIC 등 주요 완성차 기업이 사업화를 추진 중이고, 니오는 CATL과 배터리 서비스 합작사 우한웨이넝전지를 설립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지난해 3월 국가 차원의 충전 인프라 투자 의지를 밝히고 같은해 5월 국무원 업무보고에서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 권장 방침을 제시했다.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 사업 모델은 주행거리를 확보하고 전기차 초기 비용 부담을 해결한다는 게 장점이다. 소비자는 전기차 원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를 제외한 가격으로 차량을 구입하고, 배터리 교환 서비스 기업의 배터리를 구독하는 방식으로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같은 장점을 상쇄할 정도로 기술·경제·문화적 장애 요소가 존재한다.

우선 배터리 팩의 형상·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 개발에서 제약이 발생한다. 표준 규격의 제약으로 배터리 성능 개선을 위한 기술적 시도가 어려워질 수 있고, 특히 배터리셀-차대 통합기술이 실현되면 사업 경쟁력이 하락할 수 있다.

또 소비자와 기업 모두가 만족할만한 서비스 가격 수준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도 단점이다. 배터리 교환 설비 및 유지 비용을 고려하면 충분한 이용률이 유지돼야 적정 수익성이 확보되지만, 충전 속도가 개선되면 이용자가 줄어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더불어 자동차를 완전히 소유하는 것에 익숙한 소비자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없다. 배터리를 빌려 쓴다는 사실에 소비자가 심리적인 불만족을 느낄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한 신차를 구매한 소비자는 중고 배터리로 교체하는 것을 꺼릴 가능성이 있다.

이호중 한국자동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그럼에도 "중국이 이같은 사업 모델을 시도하는 배경과 그 전략은 눈여겨 볼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중국의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 사업 추진 배경을 충전소와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혼용해 전기차 대중화를 보다 가속화하고,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을 활용한 지능형 전력망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봤다.

그러면서 "중국이 충전 인프라가 미비한 국가에 전기차와 배터리 교환형 사업 모델을 패키지로 수출해 시장을 선점하고 경쟁국에 대한 진입장벽을 세우려고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일부 개발도상국 등은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 직접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식보다 배터리를 미리 충전해 놓고 필요할 때 교체하는 방식이 합리적일 수 있다"며 "해당 국가에 중국의 배터리 교환 시스템이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 소비자들이 그 서비스에 고착돼 배터리 호환성이 없는 전기차를 외면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