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0년간 반도체 인력 3.6만명 육성…차세대 기술에 2.5조 투입

등록 2021.05.13 15: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산업부, 'K-반도체 전략' 발표…"전방위 지원"

반도체 학과 정원 확대해 1500명 인력 배출

조기 취업형 장비 계약 학과 5개 학교에 신설

전력·AI 반도체·첨단 센서 등 범부처 R&D 추진

'반도체 특별법' 제정 위한 입법 방향 본격 논의

[부산=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31년까지 차세대 반도체 분야 인력 3만6000명을 양성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담은 'K-반도체 전략'을 13일 발표했다. 사진은 경남정보대 반도체전공 학생들의 실습 모습. (사진=경남정보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31년까지 차세대 반도체 분야 인력 3만6000명을 양성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담은 'K-반도체 전략'을 13일 발표했다. 사진은 경남정보대 반도체전공 학생들의 실습 모습. (사진=경남정보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 정부는 오는 2031년까지 차세대 반도체 분야 인력 3만6000명을 양성해 핵심 기술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전력 반도체, 인공지능(AI) 반도체, 첨단 센서 등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 개발에 2조5000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K-반도체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대학 정원 확대(1500명), 학사 인력 배출(1만4400명), 전문 인력 배출(7000명), 실무 인력 배출(1만3400명) 등 4가지 트랙에 대한 전 주기 지원으로 향후 10년간 반도체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국내 대학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을 150명 늘려 10년간 관련 인재 1500명을 추가 배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첨단학과 정원 조정 제도, 대학 내 학과 조정 등을 활용하고, 기존 반도체 공유 대학 연합체를 확대해 부전공·복수전공 제도도 활성화한다.

시스템반도체 전공 트랙도 새로 만들어진다. 취업 직후 추가 교육 없이 실무 투입이 가능한 학사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반도체 분야 조기 취업형 반도체 장비 계약 학과도 5개 대학교에 신설되고 채용 연계형 계약 학과도 늘어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오후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팹리스기업인 실리콘마이스터를 방문해 차량용 전력반도체 등 주요 생산품목 전시룸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1.05.0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오후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팹리스기업인 실리콘마이스터를 방문해 차량용 전력반도체 등 주요 생산품목 전시룸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1.05.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산학 연계 연구개발(R&D)과 기업 참여형 커리큘럼 운영을 통해 석·박사급 우수 연구인력 육성 생태계도 조성한다.

대표 사업에는 기업과 정부의 일 대 일 매칭을 통한 '1석 3조 프로젝트'(핵심 기술 개발+고급 인력 양성+채용 연계)가 꼽힌다. 기업·대학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소재·부품·장비, 소자, 설계 관련 커리큘럼을 운영하는 전문인력 양성 사업도 추진된다.

또한 석·박사급 인공지능(AI) 반도체 원천 기술 개발 인력 양성을 위한 융합 전문 인력양성센터와 대학 정보통신기술(ICT) 연구센터도 늘어난다.

재직차,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반도체 설계와 관련된 실무 교육도 마련된다.

전국 9개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와 설계지원센터를 활용해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식이다. 대학 내 반도체 인프라를 활용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분야 실습·실무교육도 이뤄진다.

'한국 반도체 종합교육센터'도 구축하기로 했다. 여기서는 설계, 공정,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업 수요 기반 융합 연구 지원과 석·박사급 전문 인력 실습, 산업 종사자 재교육 등을 제공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핵심 인력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장기 재직, 퇴직 인력 관리도 강화하겠다"며 "첨단 기술 분야 특허 심사관, R&D 특임교수 등으로 채용을 확대하고 재창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10년간 반도체 인력 3.6만명 육성…차세대 기술에 2.5조 투입



정부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 AI 반도체, 첨단 센서 등 반도체 산업 전반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R&D 지원도 강화한다.

디지털·그린뉴딜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전력 반도체의 경우 실리콘카바이드(SiC), 질화갈륨(GaN) 반도체 등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한 민간 수요 기반의 조기 상용화 R&D가 추진된다.

내년부터는 '화합물 소재 차세대 전력 반도체 R&D'도 새로 마련된다. 여기에는 파워반도체 상용화 센터 구축과 민간기업의 SiC 6인치·8인치 공정 선행 기술 개발 지원 등의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9942억원을 들여 'PIM AI 반도체 핵심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해당 사업에 대한 본예타가 진행 중이다.

PIM은 연산과 저장 기능이 통합된 반도체로 미래 컴퓨터 패러다임을 바꿀 신개념 반도체 기술을 뜻한다.

같은 기간 5340억원을 투입하는 'K-센서' 기술 개발 사업도 동시에 준비 중이다. 이를 통해 첨단 센서 시제품을 제작하고 실증 기반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 AI 반도체, 첨단 센서 등에 1조5000억원 이상의 신규 R&D를 추진한다"며 "10년간 1조원을 지원하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 개발도 마련된다"고 언급했다.
[서울=뉴시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 'K-반도체 전략' 관련 주요 내용 및 쟁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1.05.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 'K-반도체 전략' 관련 주요 내용 및 쟁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1.05.1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는 국회, 관계부처와 협의해 '반도체 특별법' 입법을 위한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규제 특례, 인력 양성, 기반 시설, 지원, 신속 투자 지원, R&D 가속화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반도체 산업 지원 체계를 법으로 못 박아 두겠다는 뜻이다.

실제로 미국 등 주요국은 반도체 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위해 반도체 지원 내용을 법문 등으로 명시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반도체 특별법은 국내외 반도체 산업 관련 상황과 주요국들의 법 등을 종합적으로 보면서 국회와 상의할 것"이라며 "여당에서는 이번 정기 국회를 목표로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