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북 민주화·운동 역사와 장소·인물 종합계획 필요”

등록 2021.05.14 13:41:4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북연구원 ‘전라북도 민주화·인권 운동 계승사업의 과제’

조례 개정, 계획 수립, 역사 기록, 장소 유적화, 기념 공간, 예술콘텐츠 개발

“전북 민주화·운동 역사와 장소·인물 종합계획 필요”


 [전주=뉴시스] 김민수 기자 = 전국을 선도한 전라북도의 민주화·인권 운동을 계승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14일 ‘전라북도 민주화·인권 운동 계승사업의 과제’를 주제로 이슈브리핑(246호)을 내놓았다.

장세길 박사(사회문화연구부 연구위원)는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선거(1960)를 규탄하는 전국 대학 최초의 4·4시위(전북대·1960), 유신 계엄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비상계엄 반대시위(전주고·1972), 유신 치하 최초의 성직자(목사 은명기) 구속피해(1972), 1980년 5월 계엄 선포 이후 최초 희생자(이세종) 피해가 전라북도에서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학농민혁명에서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지는 전북의 시대정신을 정리해야 한다”면서 “전라북도의 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를 기록하고, 장소와 인물을 기억하는 종합계획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라북도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개정을 첫 번째 과제로 제안했다. 민주화·운동 계승사업을 담당할 위원회를 구성하고,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장 박사는 2008~2012년 단편적으로 이뤄진 전라북도의 민주화·인권 운동 기록화 사업을 이어받아 주요 사건과 장소, 인물과 시대정신을 정립하는 2단계 기록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의했다.

 또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경상남도 기념물(제277호)로 지정됐으나, 전라북도에서는 민주화·인권 운동과 관련한 장소 등이 기념물로 지정돼 있지 않다”며 “기록화 사업을 통해 장소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정립하고, 민주화·인권 운동을 대표하는 장소를 기념물로 지정하는 일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장세길 박사는 “민주화·인권 운동과 관련한 기념공원·광장을 지정하고, 관련 행사를 개최하는 상징적 장소로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와 함께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사건과 인물에 대한 예술콘텐츠의 개발과 더불어 4·19혁명, 동학농민혁명(5·11국가기념일), 5월민주화운동, 6월 항쟁으로 이어지도록 민주화·인권 운동 계승 기간을 한 달 동안 지정할 것”을 제안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