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대장동 판넬' 서울시 국감 재등장…"정치하나" vs "왜 못하나"

등록 2021.10.20 12:10:51수정 2021.10.20 12:17:4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시 국정감사 이틀째 '대장동 개발' 여진 계속

오세훈 "대장동, 첨단금융기법 악용…프로들 관여"

더불어민주당 "뭐하는 짓이냐, 경기도로 가시라"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2021.10.2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2021.10.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20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는 '대장동 개발'을 둘러싼 공방이 계속됐다. 국민의힘과 오세훈 서울시장은 대장동 개발을 둘러싼 질의를 이어갔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게 뭐하는 짓이냐", "경기도로 가시라"며 거세게 항의했다.

이날 서울시 국감에서 오세훈 시장은 '민관합작 개발 방식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돌아갈 수 있도록 구도를 미리 설계하는게 바람직하냐'는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성남도시개발공사의 수익을 고정하고, 막대하게 창출되는 수익을 천화동인에게만 몰아가도록 첨단금융기법을 악용한 사례"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대장동 설계 당시 아마 금융기법이나 부동산 관계 법령, 시행 경험이 매우 풍부한 경험이 많은 유능한 프로들이 설계에 개입을 했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며 "이재명 지사가 안정적으로 수익을 확보하지 않았느냐고 변명을 하는데, 수사를 해보면 알겠지만 과연 선량한 관계자로서 의무를 다한 것인지 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도 "성남의뜰의 보통주가 7%이고, 우선주가 93%"라며 "우선주에 의결권이 없는 대신 배당을 많이 받아가야 한다. 93% 이상 배당이 정상적인 구조일텐데 화천대유와 천화동인보다 성남도시개발공사의 배당금이 적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특별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1.10.2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특별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1.10.20. [email protected]

그러자 오 시장은 전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감 때 사용했던 판넬을 들고 나와 "이런 사업에 경험이 풍부하고 정교한 지식을 가진 자가 사업구조 설계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며 "안정적으로 성남도시개발공사에 생기는 이익을 특정 민간 사업자에게 가도록 설계하는건 누가봐도 상식에 어긋난다"고 거듭 강조했다.

국민의힘 의원들과 오 시장이 대장동 개발 의혹과 관련한 질의응답을 지속 주고받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의원들은 '이게 모하는 짓이냐', '경기도로 가시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교흥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장동 질의를 하려면 경기도 지사에게 하길 바란다"며 "오 시장도 1000만 시민의 대표이고, 대한민국 수도의 수장인데 품격을 떨어트리는 일, 정치적으로 가는 일을 안했으면 좋겠다"고 꼬집었다.

같은 당 신동근 의원도 "야당 의원하고 피감기관장이 입을 맞춘 듯 판넬을 준비했다"며 "다른 피감기관장의 입을 빌려 다른 지역의 피감기관 문제를 지적하는 것은 처음 본다. 이렇게 맹탕정치 국감만 하니까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한심하다고 하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국토위에서 윤석열 후보 아버지의 부동산 거래도 얘기하는데, 여기서 대장동 얘기는 왜 못하냐"며 "서울시를 이끄는 단체장에게 경기도 사례 어떻냐, 서울시 상황 어떻냐고 당연히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맞섰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