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유엔 43개국 중국의 인권탄압 비난..쿠바등 62국은 반박

등록 2021.10.22 09:09:5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신장위구르 종교탄압과 100만명 강제수용소 설"두고 대립

장쥔 중국대사 " 근거없는 공격과 비난이며 정치적 술수"

[ 유엔본부=신화/뉴시스] 9월24일 UN 안보리의 기후변화 회의에서 발언하는 장쥔 중국 유엔 대사. 그는 27일 핵무기확산금지조약과 관련해 일부 국가들의 2중 잣대와 일방적 해석을 비난하며 중국은 그런 태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 유엔본부=신화/뉴시스] 9월24일 UN 안보리의 기후변화 회의에서 발언하는 장쥔 중국 유엔 대사. 그는 27일 핵무기확산금지조약과 관련해 일부 국가들의 2중 잣대와 일방적 해석을 비난하며 중국은 그런 태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유엔본부= AP/뉴시스] 차미례 기자 = 유엔은 21일(현지시간) 총회에서 서방국가 40여개국이 상정한 중국 신장 위구르족을 비롯한 소수민족과 종교에 대한 탄압을 비난하는 결의안과 이를 "중국에 대한 내정간섭"이라며 반박하는 쿠바 등 62개국의 결의안이 충돌하는 전형적인 의견의 양분을 드러냈다.

이날 43개 서방국가가 제기한 문제는 최근 중국에서 100만명 이상이 강제수용소에 구금되어 있다는 외국 정부와 학자들의 연구보고서들이 발표된 이후, 인권탄압 문제가 크게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쿠바는 즉시 62개국을 대표하는 성명서를 발표, 신장 문제는 중국의 내부 문제이며 인권탄압 주장은 전적으로 "정치적 동기와 가짜 정보에 근거를 둔 것"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이어서 장쥔 유엔주재 중국 대사도 미국 등 여러 나라가 제기한 인권문제는 " 근거 없는 공격과 비난"이며 "순전한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미국 등 서명국가들이 "인권을 구실로 공연한 대결과 반목을 야기하려는 정치적 술수"를 써서 다국간 협력의 분위기를 해치고 있다고 맹렬히 비난했다.

그는 신장지구 개발로 주민들의 생활이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중국의 개발과 발전을 막으려는 당신들의 음모는 반드시 실패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에서의 이같은 대결은 중국과 서방측의 인권문제가 긴장을 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긴장상태는 최근 특히 미국과 중국이 코로나19 발생 책임문제, 무역전쟁,  남중국해에서의 중국의 군사행동 등을 계기로 급속히 악화되어왔다.

43개국이 서명한 이번의 중국 비판 성명서는 프랑스의 니콜라 드 리비에르 유엔주재 대사가 유엔총회 인권위원회에서 낭독한 것으로, 신장 지구에 대한 "믿을만한 보고서들"과 "중국의 재교육 수용소"에 대한 특별한 우려를 담은 내용이다.

미국과 주로 유럽국가들로 구성된 서방국가들이 위구르 문제로 유엔 인권위원회를 이용해서 중국의 인권탄압을 비방하고 나선 것은 벌써 3년 동안 3번째의 일이다.

2019년에는 영국이 23개국을 대표해서 비난 성명서를 낭독했다.  2020년에는 39개국이 서명한 성명서를 독일이 낭독했고 올 해에는 그 보다 4개국이 더 서명을 했다.

 하지만 쿠바는 지난 해에는 겨우 45개국의 서명을 받아냈지만 올해에는 중국을 지지하는 나라들을 17개국이나 더 서명국가로 끌어들였다.

인권탄압 비난국가들은 신장 위구르 지역에 대한 각계의 보고서 내용을 열거했고 미첼 바첼레트 유엔인권위원장과 다른유엔 조사관들도 이들의 내용이 중립적인 현장 감시원들의 보고 내용과 부합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쥔 중국대사는 바첼레트에게 유엔측의 현지 방문은 우호적인 것이어야지  "유죄를 예측해 놓고" 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측에는 장벽이 없다면서"누구든 와서 직접  현장을 보려는 사람들은 장벽을 허물거나 이 문제를 정치적을 이용하려는 목적이라면 다른 곳을 알아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AP통신은 10월들어 두 차례 신장지구를 방문 취재하고 중국 정부가 위구르 를 비롯한 무슬림 소수민족 지역에서 백만명 가까운 주민들을 강제수용소와 감옥에 넣은지 4년째 되는 현재의 모습을 보도한 바 있다.

 AP통신은 중국 당국이 이 지역 대부분의 삼엄한 경관을  완화시켰고 , 경찰국가를 상징하는 공공건물을 둘러 싼 날카로운 철조망과 철책등을 없앤 모습 등을 보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