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위드 코로나, 손실보다 이득 더 크다" 국민 53% 응답

등록 2021.10.22 13: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팀 설문조사

11월 초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엔 기대·우려 교차

코로나19 보건의료 대응 전략 전환엔 74% 찬성

신규 확진자, 연간 사망자 2000명 미만까지 감수

74.9% 백신패스 찬성, 68.1% "미접종 책임 있다"

10명 중 7명 이상 "코로나19 최소 1년 이상 지속"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김부겸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제2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10.2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김부겸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제2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10.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우리나라 국민 절반 이상은 '위드 코로나' 전환으로 인한 이득이 손실보다 더 크다고 생각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11월 초 단계적 일상회복에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지만 방역을 완화하는 체제로 전환할 경우 신규 확진자와 연간 사망자 2000명 미만까지는 감수할 수 있다고 봤다.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의뢰를 받아 시행한 코로나19 대응 체제 전환에 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위드 코로나로 인한 이득과 손실에 대한 질문에는 53.2%가 이득이 크다, 29.8%가 비슷하다, 12.8%가 손실이 크다라고 생각했다.

코로나19 대응 체제 방향성과 전략 전환 시점에 대해서는 41.8%가 '지금'을 선택했다. 27.5%는 지금은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20.6%는 지금도 늦었다고 답했다.

보건의료체계의 코로나19 대응 전략 전환에는 찬성 74%, 반대 6.9%였고 코로나19 대응 목표 전환에는 찬성 70.7%, 반대 6.5%, 코로나19 정보제공이나 소통 방식 전환에는 찬성 67.3%, 반대 11.2%, 사회적 거리두기 규제 전환에는 찬성 63.1%, 반대 15.6%로 집계됐다.

정부가 11월 초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을 시도하는 것에 대해서는 49.2%가 '기대와 우려가 반반'이었고 32.9%는 기대가 크다고 했으며 17.9%는 우려를 나타냈다.

응답자 중 92.9%는 최근 한 달 동안 '위드 코로나'라는 표현을 들어본 적이 있었다. 또 85.7%는 위드 코로나에 관심을 갖고 있었고 94%는 위드 코로나라는 표현의 뜻과 내용을 이해한다고 답했다.

위드 코로나 이미지로는 54%가 긍정적이었고 14%는 부정적이었다. 31.9%는 긍정도 부정도 아니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45.7%는 '희망·기대'를, 20.4%는 '불안·걱정'을 떠올렸다.

응답자 44.9%는 위드 코로나 표현과 정보가 시의 적절하다고 생각했으나 19.4%는 반대 의견을 선택했다.

전 국민 대비 접종 완료율 90%까지 기다렸다가 위드 코로나로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은 41.5%였고 접종 완료율 70%까지 달성한 이후 위드 코로나를 시작한 뒤 보완해 나가자는 응답은 46.6%다.

위드 코로나 전환으로 우리 사회가 감수할 수 있는 신규 확진자 수는 57.1%가 1000~1999명을 선택했다.

감수할 수 있는 연간 사망자 숫자로는 58.6%가 1000~1999명이라고 답했다. 인플루엔자(계절 독감)의 연간 사망자 수가 2000~3000명이라는 설명문을 제시한 대상자 중에서는 80.1%가 연간 1000~1999명의 사망자를 감수할 수 있다고 봤다.

[서울=뉴시스]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 의견. 22일 유명순 서울대학교 교수팀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68.1%는 접종 미완료자는 접종 선택의 자유와 함께 미접종에 뒤따르는 문제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 (사진=유명순 서울대학교 교수팀 제공) 2021.10.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 의견. 22일 유명순 서울대학교 교수팀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68.1%는 접종 미완료자는 접종 선택의 자유와 함께 미접종에 뒤따르는 문제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 (사진=유명순 서울대학교 교수팀 제공) 2021.10.2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백신 접종에 대해서는 43.4%가 타인과 사회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모두의 공동 책임이라고 답했고 40.7%는 인의 자유 선택과 모두의 공동 책임 둘 다 맞다고 했다. 개인의 자유 선택이라는 답변은 13.0%에 그쳤다.

68.1%는 접종 미완료자는 접종 선택의 자유와 함께 미접종에 뒤따르는 문제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고 55.3%는 접종 미완료자 등 특정 개인에게 불편이나 불이익이 초래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고 답했다. 45%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더라도 국민으로 미접종자의 권리는 보장돼야 한다고 봤다.

접종 완료자에게 혜택을 부여하는 '백신패스' 도입에는 74.9%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는데 80.3%는 실내 마스크 착용 요구 해제에는 부정적이었다. 백신패스에 대해서는 39.2%는 기대가 컸고 14.9%는 우려가 컸다.

접종 여부에 따라 답변을 보면 접종자는 백신 패스 도입에 59.1%가 긍정적, 10.8%가 부정적이었는데 미접종자는 40.4%가 부정적, 25.8%가 긍정적이었다.

백신패스 도입으로 인한 기대 항목으로는 79.5%가 시설이용 및 인원 제한 완화로 국민 부담 감소, 78.9%가 일상회복 가속화, 76.4%가 미접종자의 접종 동기 강화를 선택했다.

백신패스 도입으로 인한 우려 항목으로는 77.3%가 정당한 예외 대상자의 심리적 부담 및 불편, 불이익, 74.1%가 백신패스 취지 왜곡으로 인한 문제와 피해, 66.5%가 백신 의무화 반대 및 반발, 62.1%가 접종 미완료자 차별에 대한 반대 및 반발, 54.9%가 증명서 발행 등 관리 비용 부담 증가 등이 있었다.

경증 확진자의 재택치료는 75.6%가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또 68%는 치명률 증가가 없으면 규제 완화를 지속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응답자 중 82.7%는 의료인, 공무원, 교사 등 필수 직종의 백신 접종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답했고 클럽 등 모든 다중시설 운영 시간 제한 해제에는 61.3%가 찬성했고 치명률이 급증하지 않는 한 공공시설을 폐쇄하지 않아야 한다는 질문에는 65.5%가 동의했다. 단 인원 제한 없는 모임, 행사, 집회 허용에는 70.5%가 반대했다.

[서울=뉴시스] 박미소 기자 = 지난 19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점포에 임시휴업 안내문과 고지서가 붙어있다. 2021.10.19. misocamera@newsis.com

[서울=뉴시스] 박미소 기자 = 지난 19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점포에 임시휴업 안내문과 고지서가 붙어있다. 2021.10.19. [email protected]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대해서는 64.1%가 보건의료 인력과 기관 부담 가중, 61.8%가 확진자 급증, 57.8%가 개인이나 집단 책임 회피, 55%는 중증환자와 사망자 증가 등을 우려했다.

반면 거리두기를 완화하지 않을 경우에는 64.5%가 생계 부담이 가중된 국민 위험, 58.8%가 사회 위축 및 국민 삶의 질 저하 등을 걱정했다.

확진자 숫자 집계 중단에는 73.8%가 부적절하다는 데 동의했고 정부의 브리핑 등 일일 대국민 발표 중단에도 66.8%가 반대했다.

확진자 숫자에 대한 관심은 68.3%가 "있다"고 답했다. "없다"는 응답은 11.2%다.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서는 79.9%가 중환자 규모나 방역망 관리 현황 등 확진자 숫자만큼 중요한 다른 정보나 중요한 주제가 고르게 다뤄지지 못한다고 답했다. 70.1%는 확진자 숫자만을 기준으로 숫자가 많아지면 ‘악몽’, ‘쇼크’ 등의 표현으로 감염 현황을 알리는 것, 64.4%는 스포츠나 주식시황을 중계하듯 알리는 것에 대해 문제라고 생각했다.

국가의 강력한 개입을 최소화 해 개인의 자율 책임을 우선하는 정책 전환은 36.2%가 가능성이 높다, 35%가 높지도 낮지도 않다, 28.8%가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응답자 45.8%는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향후 1~2년은 더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2년 이상 이어질 것이라는 응답도 31.5%다. 1년 내 종결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5.3%에 그쳤다.

코로나19의 심각성에 대해 63.1%는 심각하다고 생각했는데, 46.3%는 작년보다 올해 코로나19 심각성이 더 커졌다고 답했다.

반면 우리 사회가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38%에 머물렀다.

유 교수는 "위험의 심각성 인식에 비해 사회적 대응 역량은 낮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심각성을 사안별로 보면 81.3%가 민생경제 손실과 피해를 꼽았다. 74.5%는 감염대응 인력 및 기관의 부담과 피해 가중, 74.1%는 감염대응으로 인한 학습 결손, 돌봄 고립, 단절, 71%는 부정적 사회심리다.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통제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52.8%가 통제 가능하다고 답했는데, 이 수치가 통제 불가능함을 앞선 건 지난해 6월 62.6% 이후 처음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상 회복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0점을 일상 정지, 100점을 코로나19 이전 상태로 설정했을 때 평균 점수는 52점으로 8월 47.2점보다 4.8점 올랐다. 일상 회복은 여성이 48.9점으로 남성 55.2점보다 위축됐고 자영업자가 47.1점으로 비자영업자 53.7점보다 저조했다. 응답자의 58.1%는 코로나19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다.

응답자들은 코로나19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 55.2%가 자기 계발 기회 감소, 47.5%가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 감소, 40.3%가 업무나 학업에 대한 흥미 감소, 40%가 저축한 돈 또는 비상금 감소, 38.6%가 근로 소득 감소, 38.6%가 타인과의 관계에 부저적 영향 등을 선택했다.

우리 사회의 코로나19 대응은 59.9%가 잘했다고 생각했다. 항목별로는 ▲보건의료 요소 73.3% ▲민간(산업) 요소 62.5% ▲공공행정 요소 56.2% ▲시민사회 요소 49.3% ▲정당 및 의회 요소 29.6% ▲언론 요소 28.6% 순이다.

이번 조사는 10월5일부터 8일까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권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추출 방식으로 표집한 만19세 이상 69세 이하 전국의 성인 남녀 1,083 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3.10%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