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국방부, 해외병력 中 견제 중심 재배치…인·태 '우선순위'로(종합)

등록 2021.11.30 10:14:13수정 2021.11.30 10:16:4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中부상 견제…인도·태평양서 중국·북한 위협 저지 협력

호주·태평양제도 인프라 증진 포함…WSJ "비행장 개선"

"다른 주둔 유지하며 中 맞서 자원 배치 어려움 보여줘"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지난 9월 미 상원 청문회에서 아프니스탄에서 벌일 대테러작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번주 바레인 수도 마나마에서 열리는 안보대화에 참석하고 있다. [AP/뉴시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지난 9월 미 상원 청문회에서 아프니스탄에서 벌일 대테러작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번주 바레인 수도 마나마에서 열리는 안보대화에 참석하고 있다. [AP/뉴시스]

[워싱턴=뉴시스]김난영 특파원 = 미국 국방부가 지난 2월 조 바이든 대통령 지시로 진행한 해외주둔미군재배치(GPR·Global Posture Review) 검토를 마무리했다.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두고 인도·태평양 지역이 검토의 우선순위가 됐다.

국방부는 29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GPR 검토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GPR 검토 결과 당초 일각에서 예상했던 주요 병력 주둔 태세 대규모 개편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우선순위로 꼽힌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중국의 잠재적인 군사 공격과 북한의 위협을 저지하고 지역적 안정성에 기여하도록 동맹·파트너국가와 추가 협력을 모색한다는 결론이 담겼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여기에는 호주와 태평양제도 인프라를 증진하는 방안을 비롯해 호주 내 군용기 순환 배치 계획 등이 포함된다. 호주와 미국은 지난 9월 모든 종류의 미 군용기를 호주에 순환 배치하기로 하는 군사 협력 확대 방안을 발표했었다.

이전에는 순환 배치됐던 공격용 헬리콥터 부대와 포병대 본부를 한국에 상시 주둔시키는 방안도 포함됐다. 아울러 일각에서 감축을 우려했던 주둔 규모는 큰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마라 칼린 국방부 정책부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 주한미군 주둔에 관해 "한국에서의 우리 주둔은 단단하고 효율적"이라며 "현재 알리고자 하는 변화가 없다"라고 말했다.

유럽의 경우 이전 행정부가 설정한 독일 주둔 현역 병력 2만5000명 상한을 폐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아울러 지난 4월 로이드 오스틴 장관이 발표한 육군 다영역작전부대와 전역화력사령부 독일 내 영구 주둔도 GPR 발표에 담겼다.

중동의 경우, 아프가니스탄 철군에 따른 대테러·이란 접근법과 관련해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IS 격퇴 작전을 계속 지원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밖에 아프리카 역내 극단주의 폭력 조직과 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등 목표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GPR 결과 중 일부는 이미 발표된 내용이고, 기밀이 유지된 내용도 상당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기밀 해제 버전 GPR 결과 보고서에 괌과 호주 비행장 인프라 개선을 통해 수송·배치 역량을 확대한다는 내용이 담긴다고 전했다.

WSJ은 아울러 아시아 지역에서 상당한 규모의 병력 조정이 이뤄지지 않은 점에 주목, 국방 전문가들을 인용해 "다른 국제적인 (주둔) 약속을 유지하며 중국에 맞서 자원을 재조정하는 일에서 미국이 처한 어려움을 보여준다"라고 했다.

또 국방부 고위 당국자를 인용, "전략적 변화를 가져오리라는 예측에도 불구하고 GPR은 대규모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찾지 못했다"라고 했다. 당국자는 "작업에 깊이 관여할수록 전체적으로 전세계 병력 배치가 거의 올바르다는 점을 알아차렸다"라고 WSJ에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