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상생형 지역일자리' 포럼 개최…제도 발전 방향 모색

등록 2021.12.08 09:55:1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일자리위·고용부·산업부·노사발전재단 공동 개최

지역별 사업 현황 및 성과 공유…유공자 포상도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6일 오후 청와대 경내에서 '광주형 일자리'에서 생산된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캐스퍼의 열쇠를 받고 있다.'광주형 일자리'는 지역의 노·사·민·정이 지역 주도의 맞춤형 발전과 노사 간 동반 성장을 이루기 위한 경제 모델이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10.0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6일 오후 청와대 경내에서 '광주형 일자리'에서 생산된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캐스퍼의 열쇠를 받고 있다.'광주형 일자리'는 지역의 노·사·민·정이 지역 주도의 맞춤형 발전과 노사 간 동반 성장을 이루기 위한 경제 모델이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10.0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의 성과를 되짚고 전국 확산을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열렸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노사발전재단 등 4개 기관은 8일 오전 9시30분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2021 상생형 지역 일자리 포럼'을 개최했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노·사·민·정 간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지역 주도형 맞춤형 일자리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현 정부 들어 일자리 경제와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국정과제로 선정하며 추진됐다. 광주형 일자리로 알려진 현대자동차 캐스퍼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2019년 1월 광주를 시작으로 밀양·횡성·부산·군산·구미·신안·대구 등 8개 지역에서 9건의 상생 협약이 맺어졌으며, 광주, 밀양·횡성, 군산·부산 등 5개 지역에선 약 9080억 원의 투자와 1300여 개의 직접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등 성과를 도출했다.

이번 행사는 '함께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 지역의 미래를 밝힙니다'를 슬로건으로 지역별 사업 추진 현황과 성과를 공유하고, 제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안경덕 고용부 장관,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 정형우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김 부위원장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일자리 중심의 국정 운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업"이라며 "사회 양극화, 지역소멸 위기 등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 노사민정이 힘을 모아 경쟁력을 확충해 투자와 일자리를 만드는 지역 일자리 사업의 필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지역 일자리 거버넌스 구축과 사회적 대화 경험 축적, 상생의 노사문화 확산과 같은 사회적 자산 형성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며 "지역이 중심이 돼 노동시장의 도전 과제를 기회로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 제1차관은 "상생과 협력의 모범사례가 만들어져 지역은 성장동력을 얻고 청년은 고향에 일터를 얻었다"며 "앞으로도 조화와 균형의 가치 아래 투자,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력 제고의 선순환을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개회식에선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개발에 기여한 유공자 12명과 광주·군산 2개 지방자치단체에 대통령 표창,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표창, 고용노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여했다.

대통령 표창은 한국자동차연구원 이항구 연구위원이 받았다. 그는 자동차 산업 전문가로서 군산·부산형 일자리 선정에 기여했으며, 노사상생형 지역 일자리 컨설팅 현장자문단으로 활동하며 신규 모델 개발 지역들을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서면 축사에서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대한민국 미래 성장전략이며 우리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전략"이라며 "함께 잘살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이뤄진 전 과정이 훌륭한 상품으로 새로운 역사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노사 간, 원·하청 간, 지역주민과 기업 간 다양한 상생 모델을 개발하고 51조 원의 투자와 13만 개 일자리를 만들며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여러 성공 사례가 전국적으로 전파돼 많은 지역이 주도적으로 다양한 혁신 모델을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1부 행사에선 '상생형 지역 일자리 발전 방향'을 주제로 한국노동연구원 박명준 선임연구위원이 발제를 맡았다. 그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 발전을 위한 과제로 지역별 전담 지원조직 운영 등을 통한 지자체 역량 제고, 중앙정부의 원스톱 지원체계 및 기업·근로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 강화 등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어진 패널 토의에선 주현 산업연구원 원장이 좌장을 맡아 이두희 산업연구원 지역정책실장, 김현철 군산대 교수 등이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 확산과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를 논의했다.

2부 행사에선 상생형 지역 일자리로 선정된 5개 지역, 협약 체결 후 사업 신청을 준비 중인 3개 지역, 모델 개발 초기 단계인 11개 지역 등 총 18개 지역의 사업 추진 상황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각 지역은 해당 지역의 모델 소개와 사업기획, 상생 협약, 사업 신청 등 진행 단계별 고려 사항 등에 대해 공유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