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나이 들수록 '근력 운동'으로 근감소증 막아야"

등록 2022.01.18 07:11:5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근력 운동 시, 혈류개선·노화 방지·암 예방 등 효과까지

[인천=뉴시스] 이루비 기자 = 이병훈 가천대 길병원 정형외과 교수. (사진= 가천대 길병원 제공)

[인천=뉴시스] 이루비 기자 = 이병훈 가천대 길병원 정형외과 교수. (사진= 가천대 길병원 제공)


[인천=뉴시스] 이루비 기자 = 고령자의 근육 손실을 많은 사람이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치부해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 하지만 근육세포는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고령자일수록 근육량 유지에 힘써야 한다.

나이가 들면서 신체 근육량은 줄어들게 된다. 빠르게 수축하는 근섬유의 위축과 손실이 발생하고 근육섬유 자체의 수와 크기도 줄어든다. 근육세포 및 근섬유의 미세구조 변화로 자연스럽게 근육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또 노화로 각종 신체기능이 떨어져 만성염증 및 산화스트레스, 인슐린 저항성 증가 등으로 근육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기도 한다. 따라서 노화 진행 정도와 근육량 감소는 비례하게 된다.

하지만 근육량 감소를 나이듦으로 인해 당연한 것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근육량 감소가 근기능 저하로 이어져 낙상 같은 신체 기능이 떨어져 부상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골밀도 저하로 연결되기도 한다. 게다가 근육량이 줄어들면 기초대사량이 낮아져 비만과 내장비만을 유발하게 된다.

이병훈 가천대 길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의 손실이 두드러지는 '근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근육량은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잘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병훈 교수는 "노화에 따른 근육손실은 1989년 미국의 로젠버그(Irwin Rosenberg) 교수가 처음으로 '근감소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부터 의학적 관심 사항이 됐다"며 "최근 근감소증은 진단 기준도 마련되고 세계질병분류(ICD)에 등록돼 노화가 아닌 일종의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근감소증 예방하려면 '근력 운동' 필수…암 예방 등 효과까지

근감소증은 '원발성'인 일차성과 '속발성'인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다. '원발성 근감소증'은 노화 그 자체로 진행되며, '속발성 근감소증'은 질병·신체활동량 감소·영양 섭취장애·흡수장애 등으로 발생한다.

이 교수는 "근감소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근력 운동"이라며 "근력 운동의 효과는 외적인 외모의 변화와 퍼포먼스의 향상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령 만성질환자들에게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유명 학술지인 '란셋(Lancet)'에는 고령 만성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근력운동이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협심증과 같은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복용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보고됐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근력 운동은 건강에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혈류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고혈압이나 심근경색·협심증 같은 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자율신경계의 원활한 조율을 통해 부정맥이나 급사의 위험성을 낮춘다.

또 인슐린저항성을 낮춰 당뇨병을 조절할 수 있고, 고지혈증을 치료할 수 있다. 근력 운동은 세포사멸과 관계있는 장수유전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특히 근력 운동을 하면 암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칼프로텍틴(calprotectin)'이란 단백질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1995년 'Leukoc Biology'에 소개된 연구에서는 운동이 대장암을 비롯한 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검증되기도 했다.

현재까지 입증된 근력 운동의 효과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고혈압 치료, 부정맥 예방, 치료, 대장암 예방, 장수효과, 당뇨병 조절, 고지혈증 치료, 항암효과, 우울증 치료 효과, 낙상 예방 등이 있다.

노화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도 매우 중요하다. 근육은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수시로 물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는 수분의 저장고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탈수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근육 감소가 가속화 할 수 있어 하루 물 섭취 권장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병훈 교수는 "노년기가 되면 갈증 조절 중추기능의 저하와 신장기능의 저하로 인해 탈수에 취약해지며, 혈압약과 같은 만성질환의 치료를 위해 복용하는 약물 중 이뇨작용을 유발하는 것도 있어 만성탈수 상태로 빠지게 된다"며 "이 같은 이유로 발생한 만성 탈수는 근육 기능의 감소와 효율 저하로 이어지게 되기 때문에 적정량의 물 섭취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