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안동대 연구팀, 생체 단백질 이용 전자소자 접합기술 개발

등록 2022.01.20 11:38: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유연기판과 전극 사이 접합력, 세계 최고 수준

경제성 확보돼 향후 상용화 가능 기술로 평가

재료과학분야 학술지 'Advance Materials Interface' 표지 (사진=안동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재료과학분야 학술지 'Advance Materials Interface' 표지 (사진=안동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김진호 기자 = 안동대학교 연구팀이 생체 단백질을 이용해 전자소자 접합기술을 개발했다.

20일 안동대에 따르면 안태창·황희윤 안동대 기계로봇공학과 교수는 김건휘 충북대 기계공학부 교수와 함께 공동 연구팀을 구성해 BSA 단백질을 이용해 유연전극의 접합력을 높이는 공정기술을 개발했다.

유연전극(Flexible electrodes)과 기판 사이의 접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기초연구실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통해 폴더블 스마트폰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유연소자에서 유연기판(필름)과 전극 사이의 접합력을 높이고 유연전극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소의 혈청단백질인 BSA 단백질과 무전해도금 공정을 이용해 유연기판(PET, PI, FEP 등)과 전극 사이에 접합력을 세계 최고 수준인 1N/㎜ 이상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공정을 개발했다.

유연소자에 사용되는 필름은 대부분 낮은 표면에너지로 접합력이 부족하고, 반복적인 변형 조건에서 유연소자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BSA 단백질을 접합물질로 사용해 기판과 전극 사이의 접합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기존 생체단백질 기반 공정에서 단백질 가교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극복해 단백질 가교와 전극생성 공정(무전해도금)이 동시에 진행되는 공정방법을 개발했다.

이러한 공정은 공정시간 단축을 통해 경제성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상용화 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4일 재료과학분야 권위지인 'Advance Materials Interface'의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안동대 관계자는 "현재 Io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는 유연 전자소자(폴드블 스마트폰,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