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과기정통부,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전략' 수립 착수

등록 2022.01.25 14: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5일 통신3사·제조사 등과 발표·토론회 개최

과기부 "6G·양자통신 등 첨단기술 개발 본격화"

"네트워크는 디지털 세상 영토개척 '첫번째 주자'"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전세계적으로 기술 패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네트워크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6G를 비롯한 첨단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25일 네트워크가 나아가야 할 미래 비전을 담은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전략' 수립에 착수하기 위한 추진 방향을 발표하고 업계와 토론을 진행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날 토론회에는 임 장관을 비롯해 통신3사와 삼성전자·LG전자 등 제조사 관계자, 학계·연구계·유관기관 담당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추진방향 발표와 토론회는 신산업 창출 기반이자 필수 전략기술로써 네트워크 인프라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네트워크 경쟁력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강화하고 미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선제적 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5G·6G 등 네트워크 기술을 10대 국가필수전략기술로 지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전략 수립을 추진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5G-진화, 위성통신과 연계된 6G, 양자통신 등 첨단기술 개발을 본격화하고 네트워크 장비 구조·기능의 소프트웨어 전환 기술을 개발하는 등 초격차 기술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기초 인프라 고도화 및 SW·지능화 기술 도입 등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 강화 ▲촘촘한 네트워크 접근 환경 조성 ▲튼튼한 산업 생태계 구축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활성화 등을 제시해 세계 최고의 네트워크 혁신 국가 도약을 위한 세부 추진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6DoF를 제공할 미래 미디어 서비스와 디바이스를 뒷받침하는 미래 네트워크 기술로 5G진화·6G 핵심 부품·장비 기술, 종단 간 초저지연 기술, 초공간 네트워크 기술, 실시간 초정밀 측위 기술, 초저지연 확장현실(XR)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동 SW 플랫폼 및 HW 핵심 기술 등을 제시했다.

통신3사도 각기 다른 전략들을 내보였다. SK텔레콤은 5G 품질 경쟁력 확보 및 서비스 영역 확대와 더불어 추후 인공지능(AI)·메타버스의 본격적 확산과 함께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을 포함한 신규 통신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뒷받침하는 통신 인프라로는 5G 네트워크의 진화 및 6G 기술을 사전 준비하겠다고도 했다.

KT는 지능형 네트워크 진화·양자암호 기반 네트워크 보안성 강화·위성망 연동 기반 연결성 확대 등 제반 기술을 확보하고, 디지털 사각지대 해소·탄소중립 네트워크 진화 등 기업의 환경과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을 3차원을 넘어 가상공간으로 확장하고 양자 보안 및 AI 기반 장애 예측 관리, 개방형 혁신(ORAN) 등을 통해 인프라·디바이스·서비스·생태계를 고려한 미래 네트워크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북미·유럽·아시아 등 신규 시장 진입으로 전세계 5G 시장을 확대하는 데 더해 5G 핵심 칩 개발을 내재화하고 독보적인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추는 등 기술 선도에 힘쓰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향후 차별화된 솔루션을 통해 일상과 산업 모두에서 국가 기간망인 네트워크의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발표 이후 진행된 전문가 토론에서는 산·학·연이 겪고 있는 현장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 확보에 필요한 정책 제언 등이 논의됐다.

임혜숙 장관은 "네트워크는 어디서든 누구나 디지털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모든 사람과 사물, 공간을 긴밀하게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세상의 영토 개척을 선도하는 '첫 번째 주자' 역할을 할 것"이라며 "미래에는 네트워크 경쟁력이 산업의 혁신성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척도가 될 것인 만큼, 주도권 선점을 위한 발 빠른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