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윤종원 국조실장行 논란에 기업은행은 '올스톱'

등록 2022.05.27 14:09: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
 *재판매 및 DB 금지

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의 국무조정실장 임명 문제를 놓고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은행도 사실상 '올스톱' 상황에 놓였다.

27일 정치권과 금융권에 따르면 문재인 정권 초기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윤종원 기업은행장의 국무조정실장 내정을 둘러싸고 한덕수 국무총리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간의 힘겨루기가 이어지고 있다.

한 총리는 윤 행장의 임명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반면, 권 원내대표는 윤 행장이 전 정부의 탈원전, 소득주도성장, 부동산 정책 등을 주도했다는 등의 이유로 '절대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실패한 경제 정책을 주도하거나 비호한 사람이 새 정부 국무조정실장을 한다는 건 적절치 않다"며 윤 행장의 임명 철회를 강력 주장하고 있다.

윤 행장의 거취 문제가 '당정 갈등'으로 불거지자 기업은행도 난감한 입장이다. 앞서 기업은행은 청와대에서 공식 임명 발표가 날 것으로 예상하고, 윤 행장의 이임식을 준비하면서 리허설까지 진행했다. 하지만 윤 행장의 국무조정실장 인선에 급작스럽게 제동이 걸리면서, 일정을 잠정 보류한 상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아직 임명 발표가 나지 않았고 어느 것도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윤 행장은 정상적으로 출근을 하면서 기존대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 안팎에서 정부가 윤 행장의 국무조정실장 인사를 강행할 것이란 전망과 코 앞으로 다가온 6·1 지방선거 이후에 임명 여부를 결정할 것이란 전망이 엇갈리면서, 기업은행도 내부적으로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이다.

윤 행장이 '영전(榮轉)'하면 기업은행은 차기 행장을 선임할 때까지 전무이사(수석부행장)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하게 된다.

하지만 영전이 무산될 경우 윤 행장의 거취에 따라 셈법이 갈린다. 금융권 안팎에선 윤 행장의 임기가 내년 1월2일까지로 6개월가량 밖에 남지 않아, 국무조정실장 임명이 불발되더라도 예정대로 임기를 마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이 제청해야 하는데 아직 금융위원장 인사가 정해지지 않았다"며 "이르면 다음달 금융위원장이 결정되더라도 청문회 등을 거치고 나면 (윤 행장의)임기가 몇 개월 안 남는데 굳이 무리하게 바꾸려 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미 국무조정실장 내정설이 파다하게 나온 가운데, 그가 행장직을 그대로 수행하기엔 부담스러울 것이란 관측도 많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무조정실장으로 가지 못하더라도 이미 이임식 일정까지 잡았던 마당에 행장직을 그대로 이어가기는 부담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에도 기업은행은 전무이사 체제로 전환하고 차기 행장 선임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기업은행 안팎에서는 업무 공백 상황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2020년 1월 윤 행장은 취임 당시에도 '낙하산 인사' 논란에 부딪혀 한 달 가까이 출근을 하지 못해 업무 공백이 발생했었다.

가뜩이나 기업은행은 새정부 출범 후 은행 뿐 아니라 주요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인선도 '올스톱' 되는 등 업무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은행은 지난 3월 임기가 끝난 신충식·김세직 사외이사의 후임자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IBK캐피탈, IBK투자증권, IBK신용정보, IBK시스템, IBK연금보험 최고경영자(CEO) 등 5개 자회사 대표들은 임기를 마치고도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아 계속 대표직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영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임자들이 그대로 직무를 이어가고는 있지만, 신규 사업은 커녕 기존의 업무를 유지하는 선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권 싸움에 정작 피해를 보는 것은 기업은행 직원들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기업은행 직원은 "윗선에서 교통정리가 안되니 업무가 손에 잡히지 않고 스트레스만 받고 있다"며 "조직 내부적으로 피로감이 상당하다"고 토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