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기자수첩]잇단 금융권 횡령사고, 대책 없나

등록 2022.06.22 11:04:5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기자수첩]잇단 금융권 횡령사고, 대책 없나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꼴이다."

끊임없이 터지는 금융권 횡령 사고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은행권과 2금융권 등에서 수억, 수백억원대 횡령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우리은행(614억원)과 KB저축은행(94억원), 새마을금고(40억원), 지역농협(40억원), 신한은행(2억원) 등에서 직원이 회삿돈을 빼돌린 사실이 드러났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내부 감시시스템 하에서도 직원 개인의 일탈행위를 막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마음먹고 서류를 조작해 자금을 빼돌리면 이를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모든 금융사고는 마음만 먹으면 가능하다"며 "개인의 도덕성이 제일 큰 문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를 개인의 일탈행위로만 치부하기엔 사태가 심각하다.  횡령한 자금은 주로 주식이나 암호화폐 투자에 쓰거나 도박 등에 탕진했다. 최근까지 금융자산 시장의 급등세 속에 성실하게 책임 의식을 가지고 일하는 것보다 손쉽게 큰돈을 버는 이들을 동경하는 '한탕주의'가 퍼진 영향이다. 신뢰가 생명인 금융기관 내 도덕적 해이가 심각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은행의 내부 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용했는지도 의문이다. 최근 횡령들은 장기간에 걸쳐 이뤄졌다는 점에서 업계는 물론이고 금융 소비자의 충격이 컸다. 우리은행 횡령 사고는 10년 만에 드러났다. 새마을금고 직원의 범행 기간은 16년이었고, KB저축은행 직원은 6년간 자금을 빼돌렸다.

철저한 감시와 확인이 이뤄졌다면 보다 빨리 횡령 사실이 드러났을 것이다. 위조된 서류가 진짜인지, 시재는 맞는지 교차확인 하는 절차가 있었다면 피해 규모가 줄었을지도 모른다. 일부 횡령 사고는 은행의 내부 통제 시스템을 통해 밝혀졌으나 이를 예방하지는 못했다. 결국 은행의 소홀한 관리가 한탕주의와 횡령에 대한 유혹을 부추긴 셈이다.

사후약방문에서 벗어나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강력한 `일벌백계'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복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20일 시중은행장과의 만남에서 "금융산업은 고객의 신뢰가 생명이므로 금융사고에 더욱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의 취임 일성이 공허한 메아리가 되지 않길 바란다. 은행은 윤리와 체계를 바로 세우고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아야 할 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