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상자 1500명' 전쟁 후 최대피해…삼풍 참사 27주년

등록 2022.06.29 06:00:00수정 2022.06.29 06:28:4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균열과 침하…보강 공사 회의 중 참사 발생

사망자 502명, 부상자 937명, 실종자 6명

회장,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 징역7년6개월

사고 다음해 응급의학 전문의 제도 시행

삼풍백화점 붕괴 터, 윤 대통령 자택 부지

[서울=뉴시스]임하은 기자 = …
[서울=뉴시스]1995년 6월2일 붕괴한 삼풍백화점. (사진=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 제공)

[서울=뉴시스]1995년 6월2일 붕괴한 삼풍백화점. (사진=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 제공)


1995년 6월29일 서울 서초구 삼풍백화점이 무너졌다.

사상자는 1500여명에 달했다. 검경합동수사본부는 9개월간 시신을 수습했으며 이는 한국 전쟁 이후 사상 최대 인명피해로 남았다. 삼풍백화점은 1989년 12월 개장 후 5년밖에 안 된 서울 시내 호화 백화점이었기에 국민들의 충격은 더욱 컸다.

삼풍백화점이 무너진 터는 현재 윤석열 대통령의 자택인 서초구 중앙로에 위치한 아크로비스타 부지기도 하다.

참사 이후 27년이 흘렀지만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건물 붕괴 등 대형 인재(人災)는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삼풍백화점 붕괴 후 27년이 지난 29일 주서울문화재단이 '서울을 기억하는 방법' 구술·기록 프로젝트로 엮은 책 '1995년 서울 삼풍'을 참고해 당시의 붕괴의 참상과 그 후의 이야기를 되짚어봤다.

균열과 침하…보강 공사 회의 중 벌어진 참사

오후 5시52분께 삼풍백화점 A동의 붕괴는 시작됐다. 임원진들이 오전 10시께부터 건축설계사와 구조기술사 등과 함께 균열 현장을 둘러본 후 B동에서 보수 회의를 진행하고 있을 때였다. 당일 아침 백화점 직원들은 A동 5층에 균열과 천장 침하, 바닥돌출 등을 확인했다.
[서울=뉴시스]1995년 6월2일 붕괴한 삼풍백화점. (사진=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 제공)

[서울=뉴시스]1995년 6월2일 붕괴한 삼풍백화점. (사진=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 제공)

5층 건물은 지하 4층 밑으로 무너졌고 건물 잔해들 사이에는 구조를 요청하는 사람들의 절규 소리가 가득했다. 현장 곳곳에는 부러진 기둥들만 우뚝 솟아있었을 뿐이었다.

희생자 규모는 사망자 502명, 부상자 937명, 실종자 6명이다.

120명으로 꾸려진 검경합동수사본부는 사고 발생 하루 만에 약 90구의 시신을 발굴했다. 하지만 대부분 외상으로 인해 훼손된 부분 시신들이 발견됐으며 신원 확인에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장마철 날씨로 인해 시신의 부패 속도도 빨랐던 점도 있었다.

이 사고는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8개월 만에 또다시 벌어진 대형 참사였다.

"살아있는 사람들이 죽은 사람들에게 답을 해야 한다"

"산 사람이 있고 죽은 사람이 있는데 살아있는 사람들이 죽은 사람들한테 답을 해야 한다. (중략) 지금 조사하고 있는 우리 검사들이 정확한 답을 해줘야 한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죄다 밝혀 처단하는 것이 우리에게 부여된 임무라는 생각에 천착해보자."

붕괴 참사 이후 수사에 나섰던 검찰이 당시 사고 관계자들을 기소하기 전 법리검토 회의에서 한 말이다.

[서울=뉴시스]삼풍백화점 붕괴 20주기인 2015년 6월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매헌로 양재시민의숲에 마련된 삼풍백화점 참사 위령탑 앞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한 유가족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삼풍백화점은 지난 1996년 6월 29일, 지상 5층부터 지하 4층까지 불과 20초 만에 무너지며 502명이 숨지고 937명이 부상해 건국 이래 최악의 참사로 기록됐다. (자료=뉴시스DB).

[서울=뉴시스]삼풍백화점 붕괴 20주기인 2015년 6월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매헌로 양재시민의숲에 마련된 삼풍백화점 참사 위령탑 앞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한 유가족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삼풍백화점은 지난 1996년 6월 29일, 지상 5층부터 지하 4층까지 불과 20초 만에 무너지며 502명이 숨지고 937명이 부상해 건국 이래 최악의 참사로 기록됐다. (자료=뉴시스DB).

사건 발생 후 한달이 지난 7월26일 검찰은 임원진 등 사고 관계자들을 기소했다.

국민들과 유가족들의 분노 속에 검찰은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혐의를 검토했다. 하지만 당시 사고 당일 백화점 간부들이 붕괴 시각까지 백화점 안에 남아있었고, 이준 회장의 며느리 역시 지하매장에서 구조됐으며, 붕괴로 인한 손해가 영업으로 얻는 이익보다 크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검찰은 살인 혐의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붕괴 조짐 알았던 임원들…판결은 고작 징역 7년6개월

대법원은 사건발생 1년 후 업무상과실치사상 등의 혐의로 당시 삼풍그룹의 이준 회장에 징역 7년6개월, 이한상 사장에 징역 7년을 선고했다.

임원들은 건물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붕괴 전날 백화점 경영진들은 보수계획에 대해 논의를 했으며 당시 '(건물에) 휨 현상이 있어 보강을 해야 한다'는 현장 조사 결과도 있었다고 한다. 검찰 조사와 청문회에서 이들은 백화점이 무너질 때에도 건물 내에서 보수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고 진술했다.

[서울=뉴시스]삼풍백화점 붕괴 20주기인 2015년 6월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매헌로 양재시민의숲에 마련된 삼풍백화점 참사 위령탑 앞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한 유가족이 참배하고 있다. 삼풍백화점은 지난 1996년 6월 29일, 지상 5층부터 지하 4층까지 불과 20초 만에 무너지며 502명이 숨지고 937명이 부상해 건국 이래 최악의 참사로 기록됐다. (자료=뉴시스DB).

[서울=뉴시스]삼풍백화점 붕괴 20주기인 2015년 6월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매헌로 양재시민의숲에 마련된 삼풍백화점 참사 위령탑 앞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한 유가족이 참배하고 있다. 삼풍백화점은 지난 1996년 6월 29일, 지상 5층부터 지하 4층까지 불과 20초 만에 무너지며 502명이 숨지고 937명이 부상해 건국 이래 최악의 참사로 기록됐다. (자료=뉴시스DB).

임원진들은 무너진 A동이 아닌 B동에 있었기에 사고를 피했다. 검찰은 최종적으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혐의를 적용하지는 않았다.

당시 검찰은 임원진에 대한 구형을 놓고 수사에 투입됐던 검사 전원과 다른 부서의 부장, 수석검사들이 모두 모여 토론했다. '겨우 7년6월이냐', '국민들과 유가족들이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 등 다양한 얘기가 오갔다고 한다.

당시 주임검사였던 이상권 전 전기안전공사 사장은 결심 공판에서 "살인죄를 검토했으나 법리상 무리인 것 같아 살인죄로 기소하지 못하고 7년6개월밖에 구형하지 못하는 것이 정말 가슴 아프다"라고 말했다.

참사 그 후…응급의료체계 도입

사고 당시는 우리나라에 응급의학 전문의도 응급 체계의 일원화도 마련돼있지 않았던 때라 더욱 피해가 컸다.

참사 직후 사고 현장과 5분 거리에 있었던 강남성모병원으로 환자들이 몰려들었다. 하지만 당시 응급실 침대 45개로 수많은 환자들을 대응하기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강남성모병원을 기점으로 삼성병원 등 주변 병원으로 환자들이 재이송됐다.

응급의료 체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던 때에 삼풍백화점 참사가 발생했고, 사고 다음 해 1996년 2월부터 응급의학 전문의 제도가 시행됐다. 삼풍백화점 붕괴라는 대형 참사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응급의학이 갖춰지기 시작한 셈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