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로나 집단감염 확산 막은 요양병원…무엇이 달랐나

등록 2022.08.11 12:03:50수정 2022.08.11 12:59: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감염관리인력 지정, 확진·접촉자 동선 분리 주효

집단감염 겪은 후 관리체계 개선…추가전파 차단

당국 "이달 확진자 발생 모의훈련 시나리오 배포"

[경산=뉴시스] 이무열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으로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등의 대면 면회가 금지된 지난달 25일 오후 경북 경산시 옥산동 양지요양병원 안심면회실에서 병원 관계자가 비접촉 면회를 앞두고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 2022.08.11. lmy@newsis.com

[경산=뉴시스] 이무열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으로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등의 대면 면회가 금지된 지난달 25일 오후 경북 경산시 옥산동 양지요양병원 안심면회실에서 병원 관계자가 비접촉 면회를 앞두고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 2022.08.11.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에서 똑같이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더라도 병원의 대처에 따라 집단감염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다는 방역 당국의 분석이 나왔다.

11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가 2020~2021년 코로나19 집단감염 요양·정신병원 대응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응이 우수했던 A요양병원은 추가확진자가 8명만 발생한데 비해 미흡했던 B정신병원에서는 138명이 추가로 확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확진자가 발생한 A요양병원은 환자 90명 등 171명 중 8명(4.7%)이 추가 확진되는 선에서 집단감염 확산을 막았다. 해당 병원은 감염관리 인력을 지정했으며, 병원장을 중심으로 지자체와의 유기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해 초기 전파 차단에 집중했다.

나아가 병실 내 물리적 격벽을 유지하고 확진자 동선을 구분했다. 접촉자는 병동 및 층을 나눠 코호트(동일집단) 격리를 실시했으며, 코호트 병동 병실 내에도 물리적 격벽을 설치했다. 병상 사이에 1.5m 간격을 유지했다.

반면 지난해 1월 집단감염이 발생한 B정신병원에서는 입원환자 615명 등 788명 중 138명(17.5%)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이 병원은 감염관리 인력을 지정하지 않았으며, 병실 내 공동생활에 따라 확진자의 동선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접촉자도 같은 층 내에 확진자와 비확진자 병실만 구분했으며, 코호트병동 복도에 비닐막을 설치하는 식으로 대처했다. 병상 간격도 1m로 더 좁았다.

한 차례 집단감염을 겪은 후 자체 노력을 통해 다음 번 확진자 발생 시 집단감염을 막은 사례도 있었다.

C요양병원에서는 지난 2020년 11월 45명 규모의 집단감염이 발생했으나, 자체적으로 방역 관리를 강화한 결과 지난 7월에는 종사자 2명이 확진된 후 집단감염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 병원은 간병인 등 종사자가 상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종사자가 접촉한 지인 중 확진자 발생 시 증상 유무와 관계 없이 업무에서 배제했다. 예비병상을 마련해 의심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격리했으며, 병상 간격은 1m에서 1.5m로 넓혔다. 최대 24인실까지 운영하던 병실은 6인실로 축소하고,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를 주기적으로 실시했다.

방역 당국은 이 같은 사례 분석을 통해 감염취약시설 방역 관리를 추가 개선할 방침이다.

기존 병원·시설 소속 감염관리자 대상으로만 시행하던 감염관리교육은 간병인 등 위탁업체 소속 직원까지 확대한다. 이달 중에는 감염취약시설 내 확진자 발생 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배포할 예정이다. 나아가 각 지자체의 감염취약시설별 위중증, 사망 지표에 대해 심층 분석을 시행하고, 전담대응기구 활동 상황도 점검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