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 쓰레기 소각장' 후보, 추석전후 발표…"굴뚝 명소로 조성"(종합)

등록 2022.08.17 11:01: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000t 규모로 조성 '직매립 제로'…랜드마크·지역 명소로

소각시설은 100% 지하화…지상부는 복합문화타운 조성

지역주민에게는 1000억원 규모 편익시설 등 대폭 지원

입지선정위원회 5개 내외 후보지 최종평가 후 9월 발표

[서울=뉴시스]서울시는 현재 운영 중인 양천·노원·강남·마포 등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 더해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한다고 17일 밝혔다. 사진은 도심광역자원회수시설 예시. (사진=서울시 제공). 2022.08.1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서울시는 현재 운영 중인 양천·노원·강남·마포 등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 더해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한다고 17일 밝혔다. 사진은 도심광역자원회수시설 예시. (사진=서울시 제공). 2022.08.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조현아 하종민 기자 = 서울시가 2026년까지 일일 소각량 1000t 규모의 신규 소각장(자원회수시설)을 짓기로 했다. 다음 달 추석 연휴를 전후로 최적의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시는 현재 운영 중인 양천·노원·강남·마포 등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 더해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한다고 17일 밝혔다.

서울에서는 현재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서 하루 약 2200t의 폐기물을 소각하고 있다. 하지만 매일 쏟아지는 3200t의 종량제 생활폐기물을 감당하기에는 용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나머지 1000t의 폐기물은 소각되지 않고 인천 수도권매립지로 가고 있다. 하지만 2026년부터 매립지에 직매립하는 것이 금지됨에 따라 신규 자원회수시설 설립이 불가피해졌다.

시는 현재 직매립되고 있는 폐기물을 모두 소화할 수 있도록 일일 소각량 1000t 규모의 시설을 2026년 말까지 조성하기로 했다. 시설 운영은 2027년 1월로 예정돼있다. 환경부는 시설 설립이 진행되는 경우 1년 범위 내에서 유예기간을 두도록 했다.

서울시는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조성해 자원회수시설의 패러다임을 새로 쓴다는 목표"라며 "랜드마크이자 지역 명소로 만들어 인근 지역의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각시설은 100%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에는 세련된 건축 디자인의 복합문화타운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업무.문화 시설, 공원 등을 유치하고, 기피 대상이던 높은 굴뚝은 관광 아이템으로 역활용해 전망대, 회전 레스토랑,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첨단 기술의 오염방지설비를 갖춰 대기오염물질, 악취, 소음을 최소화한다.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법적 허용 기준 대비 10~50% 수준으로 강화해 유럽이나 일본의 시설보다 엄격하게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주변 거주지 등과 분리된 작업차량 전용 진출입 도로도 만들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4개 자원회수시설 인근 지역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31㎍/㎥으로 서울시 전체평균(3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년 간 매년 실시하고 있는 인근 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조사 결과에서도 다른 지역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지역 주민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자원회수시설에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을 도입한다. 도서관 등 교육 인프라를 확충하거나 실내정원, 실내체육시설, 카페테리아 등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연간 100억원 규모의 주민지원 기금을 조성해 아파트 관리비와 난방비 등 주민복리증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신규 소각장 최적 후보지는 현재 '입지선정위원회'에서 검토 중이다. 입지선정위원회 위원장은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 교수가 맡고 있고 주민대표 3명, 전문가 4명, 시의원 2명, 공무원 1명 등 총 10명으로 구성돼있다. 위원회는 지난해 2월 전문 연구기관을 선정해 입지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위원회는 자치구별 최소 1개소를 포함해 모두 36개 후보지를 발굴했다. 36개 후보지는 최소면적 1만5000㎡ 이상인 부지다. 위원회는 면밀한 검토를 거쳐 5개 내외로 후보지를 압축한 뒤 최종평가를 통해 최적의 후보지를 결정해 9월 발표할 예정이다. 입지, 사회, 환경, 기술, 경제 등 5개 부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했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날 기자 설명회를 통해 "두차례에 걸쳐 공모했지만 희망하는 자치구는 없었다"며 "기존 4개 시설이 위치한 자치구에서도 36개 후보지에 1곳 이상씩 들어가있다. 다만 기존 회수시설이나 환경시설이 들어간 경우 평가기준상 마이너스를 주도록 돼있다"고 말했다.

유 본부장은 "입지선정위원회에서 현행법령상 폐기물 처리시설이 들어갈 수 없는 곳 등에 대해서는 배제기준을 정해놨다"며 "어느 곳이 최적의 후보지인지, 지속적으로 주민과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시장이 만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미선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쓰레기 배출량이 많은 곳이 책임을 더 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지만 가장 환경적이고 최적화된 곳을 찾아야 한다는 쪽으로 정리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최적 후보지가 발표되면 입지선정위원회의 후보지 타당성 조사과정과 결과를 20일 이상 주민에게 공고.공람한다.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주민소통협의체'를 구성해 주민과의 소통 채널도 다양화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자원회수시설이 서울시와 서울시민 전체를 위한 필수 시설이므로 최적 후보지 결정 시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세계 최고의 랜드마크 조성, 깨끗하고 안전한 시설,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지원 등을 통해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전환되는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