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5·18조사위 "전일빌딩서 헬기사격 추정 탄흔 추가 발견"

등록 2022.08.19 18:36: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사단 국군통합병원 확보 작전 당시 민간인 희생 다수 의심

계엄군 집단 발포 장소, 계림동·광주역·도청 등 6곳 나눠 조사

정호영 등 핵심 인사 대상 조사 내년 6월까지 마무리할 방침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5·18민주화운동 상징 공간인 광주 전일빌딩의 총탄 흔적이 헬기에서 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14일 "옛 전남도청 쪽에서 금남로 방향으로 돌면서 사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사진은 1980년 5·18 당시 광주 동구 금남로 전일빌딩 주변에 헬기가 날고 있는 모습. (사진 = 5·18 기념재단 제공 사진 촬영)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5·18민주화운동 상징 공간인 광주 전일빌딩의 총탄 흔적이 헬기에서 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14일 "옛 전남도청 쪽에서 금남로 방향으로 돌면서 사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사진은 1980년 5·18 당시 광주 동구 금남로 전일빌딩 주변에 헬기가 날고 있는 모습. (사진 = 5·18 기념재단 제공 사진 촬영)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가 광주 동구 전일빌딩에서 5·18 당시 계엄군이 헬기에서 쏜 것으로 보이는 탄흔을 추가로 발견했다.

조사위는 헬기사격 지휘 구조와 명령 체계를 비롯해 군의 반인도적 발포 행위를 규명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조사위는 19일 '2022년 상반기 조사 활동 보고서'를 발표하고 "전일빌딩 10층과 8층에서 헬기사격의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일부를 추가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전일빌딩 헬기 기관총 난사를 공식 인정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 결과를 토대로 조사를 이어왔다.

최근 전일빌딩 10층 전시실의 유리벽 바깥 테라조 바닥에서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을 발견했다.

또 탄흔의 각도와 크기, 입·출사 방향 조사를 위해 10층 기둥 일부의 수성 페인트를 제거한 결과 비슷한 흔적들을 추가로 확인했다. 8층 기둥에서도 의심 흔적을 발견했다.

전일빌딩 8층의 헬기사격은 지난 2017년 광주시 5·18진실규명지원단이 1980년 당시 전일빌딩 내 전일방송에 근무했던 직원 22명을 대상으로 한 집단 인터뷰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당시 한 직원은 "2층 공무국과 7·8·9·10층 유리창에서 총탄흔을 발견했다"며 "특히 높은 7~8층에 집중돼 있었다"고 진술했다.

전일방송 직원들은 올 상반기에도 조사위의 조사에 참여해 "헬기사격 추정 탄흔이 8층에서도 발견됐다"고 증언했다.

조사위는 이번 결과에 대해 "헬기 사격에 의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사탄분포가 전일빌딩 진압작전 당시에도 나타났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판단했다.

조사위는 1980년 5월 27일 11공수여단이 전일빌딩 점령을 위해 특공 작전을 한 정황을 확인하고, 진술 조사로 작전을 재구성하고 있다. 또 비행·정비기록부 등을 통해 계엄군 헬기사격의 지휘 구조와 명령 체계에 대한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광주=뉴시스]신대희 기자 = 13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1가 1번지 전일빌딩 10층 옛 전일방송 기술부 내부 기둥과 천장에서 김동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총기안전실장이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쏜 것으로 추정되는 총탄 흔적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2016.12.13.  sdhdream@newsis.com

[광주=뉴시스]신대희 기자 = 13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1가 1번지 전일빌딩 10층 옛 전일방송 기술부 내부 기둥과 천장에서 김동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총기안전실장이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쏜 것으로 추정되는 총탄 흔적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2016.12.13.    [email protected]



또 조사위는 20사단의 국군통합병원 확보 작전 당시 발생한 민간인 희생자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추가 조사를 하고 있다.

20사단은 1980년 5월 22일 국군통합병원 확보를 위해 화정동에 진입, 무장 시위대와 대치하는 과정에서 주택가를 향해 무차별 사격을 가했다.

사건 이후 군은 민간인 사망 3명 등이라고 발표했으나 검찰 수사 결과 민간인 사망자는 7명으로 늘어났다.

이날 희생자들은 모두 군인들에 의해 광주 백일사격장에 매장됐으나 추후 발견된 매장자들은 14명으로 확인됐다.

조사위는 당시 작전에 투입된 20사단 장병 448명 중 274명을 조사해 진술을 확보하고 있다.

아울러 조사위는 신군부의 민간인을 향해 발포가 이뤄진 곳을 6곳으로 구분해 조사하고 있다.

조사위는 ▲1980년 5월 19일 계림동 최초 발포 ▲5월 20일 광주역 일대 발포 ▲5월 21일 도청 앞 집단 발포 ▲5월 22일~26일 사이 외곽 봉쇄 중 발포 ▲5월 27일 도청 진압 시 발포 ▲전남지역(해남, 함평, 영암 등) 발포 등으로 나눴다.

이 중 5월 20일 광주역 일대와 5월 21일 도청 앞 집단 발포가 우선 조사 대상이다.

향후 조사위는 현재 생존해 있는 정호영 당시 특전사령관과 5·18당시 투입된 군인 등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정호영 당시 특전사령관과 직접 작전에 출동한 대대장급 이상 군인 27명, 보안사 핵심 참모 등 13명이 대상이다.

정 전 특전사령관은 지난 6월 27일 조사위에 서면 진술서를 제출했다.

조사위는 내년 6월 안으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마칠 계획이다.

5·18조사위 "전일빌딩서 헬기사격 추정 탄흔 추가 발견"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