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성큼 다가온 가을, 돌연사 주범 '심근경색증' 주의보

등록 2022.09.29 16:13:4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0월부터 환자 늘어 12~1월 가장 많아

흡연·만성질환 방치, 급성심근경색 6배↑

1~2시간 내 치료받아야 후유증↓

흡연·당뇨병·고지혈증·고혈압 관리해야

 *재판매 및 DB 금지



[인천=뉴시스] 이루비 기자 = 가을이 되면 특히 신경 써야 하는 질환이 있다. 가을의 정점인 10월부터 환자가 늘기 시작해 12~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이다. 갑작스러운 기온 하강은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이동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가을철 이후 심혈관질환 환자가 느는 이유는 우리 몸이 차가운 날씨에 노출되면서 혈관이 수축하기 때문"이라며 "심혈관은 평소엔 괜찮다가도 갑자기 악화해 건강을 위협하는데 심할 경우 돌연사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심혈관질환, 국내 사망원인 2위…50대 이후에서 두드러져

심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2위,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다. 지난해 국내 심혈관질환 사망자는 무려 6만3000여명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심혈관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가지 이유로 막혀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때 발생한다. 혈관 안에 콜레스테롤 등 노폐물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것이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등이 이에 속한다.

심장에는 근육이 있다.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이 근육(심근)에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돼야 심장이 제 기능을 한다. 이 혈관이 막히면(경색) 심근이 괴사하고 심장 기능의 일부가 정지하는데, 이를 '심근경색증'이라고 한다.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협심증'과는 다르다. 심근경색증은 보통 '심장마비'로 불리며 돌연사의 주범으로 알려졌다. 또 한해 2만~2만5000명이 급성심근경색으로 돌연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심근경색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12만7066명으로, 2017년 10만600명 대비 4년간 26.3% 늘었다. 연령별로는 40대부터 발병하기 시작해 주로 50대 이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40세 미만 환자는 전체의 약 2%에 불과하다.

흡연 및 만성질환 방치 시 급성심근경색증 위험 6배 높여

심근경색증은 동맥경화증 등과 함께 나타나기도 하고 과로 등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위험을 키우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이다. 흡연을 계속하고, 당뇨병·고지혈증·고혈압을 방치하는 것이다. 심근경색증 가족력이 있다면 심장병에 따른 돌연사 위험이 3~4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흡연하고 당뇨병·고지혈증·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급성심근경색 위험이 약 6배 높다.

증상은 가슴에 통증이 발생하고 숨이 찬다거나, 가슴이 뻐근하거나 뜨겁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을 느낀다. 또 특정 부위가 아닌 가슴 가운데가 전반적으로 아프다. 드물게는 가슴 왼쪽이나 오른쪽, 배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 소화가 안 되거나 목이 졸리는 듯한 느낌을 받는 환자도 있다. 이러한 통증이 15분 이상 지속되면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 치료받는 것이 좋다. 1시간 이내에 치료받아야 후유증이 거의 남지 않는다. 그 이상 넘어가면 생명이 위험하다.

[인천=뉴시스] 이동재 교수,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인천=뉴시스] 이동재 교수,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이동재 교수는 "급성심근경색은 예고 없이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가 많은데 가족력에 당뇨병·고지혈증·고혈압이 있으면 더 위험하고, 흡연이나 비만 역시 심혈관에 악영향을 끼쳐 좋지 않다"면서 "급성심근경색을 발견 즉시 치료한다고 해도 사망률이 30~40%가 넘고, 증상이 심각하면 1~2시간 안에 사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심근경색증 치료는 시간이 관건…심평원, 2시간 내 치료 권고

심근경색증 치료의 관건은 '시간'이다. 증상이 나타나면 최대한 빠른 시간에 막힌 혈관을 재개통해 피가 다시 흐르도록 해야 한다. 심평원은 급성심근경색 환자가 병원에 도착해 치료받아 생명을 건지기까지의 시간을 120분 이내로 권장하고 있다.

치료법은 크게 3가지다. 약물치료와 시술, 수술이다. 가장 편한 건 약물치료지만, 혈관 재개통 확률이 떨어지고 약효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엔 일반적으로 시술을 권장한다. 대표적인 게 스텐트(금속그물망)삽입술이다. 막힌 혈관 안에 철사를 통과시켜 풍선으로 혈관을 넓히고 스텐트라는 금속망을 넣는 시술이다.

수술은 최후의 수단이다. 과정이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시술이 힘든 경우 불가피하게 선택한다. 다리나 유방 쪽의 혈관을 잘라 막힌 심장혈관 쪽에 이어주는 관동맥우회술이 있다.

심근경색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생활 관리와 질병 관리가 중요하다. 잘 먹고, 잘 자고,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다. 또 심근경색증의 주요 위험요인인 고혈압, 고지혈증, 기타 심장질환을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이동재 교수는 "높은 사망률에도 심혈관질환의 심각성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면서 "비만, 고혈압과 당뇨병 등을 평상시 잘 조절하고 금연하는 것이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 된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