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비후성심근증 환자, 정신질환 관리도 중요하다

등록 2022.12.08 09:26:09수정 2022.12.08 09:38: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대병원 다학제 연구 결과

진단 후 정신질환 발생 위험 1.71배 증가

"진단 후 1년 동안은 정신건강 관리 중요"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박준빈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 공동연구팀은 비후성심근증 진단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8일 발표했다.(자료 : 서울대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박준빈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 공동연구팀은 비후성심근증 진단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8일 발표했다.(자료 : 서울대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비후성심근증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 질환을 진단받으면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질환 발생위험이 일반인보다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환자의 좋은 예후를 위해선 정신질환과 같은 비심장성 합병증 관리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박준빈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 공동연구팀은 비후성심근증 환자와 일반인 1만6000여명을 추적 관찰해 비후성심근증 진단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비후성심근증은 유전적으로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연간 사망률 1%로 비교적 예후가 좋지만 부정맥을 일으켜 급사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비후성심근증을 진단받은 환자는 질병에 대처하면서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후성심근증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정확히 연구된 것은 없었다. 환자의 정신 건강은 약물 순응도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치료를 위해 이 연관성을 규명해내는 것이 중요했다.

  연구팀은 2010~2016년 사이 비후성심근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4046명과 대조군 1만2138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기분장애, 불안장애, 스트레스 장애, 신체화 장애) 발생 위험을 4.1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비후성심근증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정신질환 발생위험이 컸다. 전체적인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약 1.71배 증가했다. 기분장애 발생 위험은 1.73배, 불안·스트레스·신체화 장애(내과적 원인 없이 신체적 이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하는 정신장애) 발생위험은 1.81배 높아졌다.

환자군의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진단 후 1개월 미만에서 3.1배, 1개월 이상 ~1년 미만에서 2.3배 높았다. 1년 이상~3년 미만 시기에는 2.1배, 3년 이상에서는 1.3배 높았다. 진단 직후 정신 질환 발생 위험이 가장 높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비후성심근증 진단 후 1년 동안은 환자를 진료할 때 정신건강 관리 측면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하위 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 시 60세 미만인 경우와 고혈압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대조군에 비해 정신질환 발생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형관 교수(순환기내과)는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진료에서는 포괄적인 임상 평가가 필요한데, 내과 진료에서 정신건강을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고위험 환자를 적절한 시기에 정신건강의학과에 의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런 측면에서 이번 연구는 정신질환 발생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와 하위 집단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박준빈 교수(순환기내과)는 "그동안 정신질환 동반 위험성이 여러 차례 보고됐던 다른 심혈관질환과 달리 비후성심근증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은 정확히 밝혀진 바 없었다"며 "다학제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할 수 있어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윤제연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비후성심근증 환자를 대상으로 정신과적 질환 평가 및 관리의 유용성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까지 이뤄진다면 환자들의 예후를 개선하고 삶의 질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혈관분야 국제학술지 '유럽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IF:8.526)' 최근호에 게재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