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시리아 북서부, 생명줄인 유엔물자 지진 80시간만에 들어와

등록 2023.02.09 22:34:3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절대빈곤의 이들립주 및 알레포주 북단 반군 텐트촌 피해커

내부 자원 거의 없는 상황서 외부 물자반입도 끊겨

튀르키예 남동부보다 인적 피해 적으나 실상은 더 참혹

[AP/뉴시스] 튀르키예 남동부 지진 발생 반나절 뒤인 6일 오전 시리아 북서부의 반군 텐트촌이 있는 이들립주 하렘 피해 현장

[AP/뉴시스] 튀르키예 남동부 지진 발생 반나절 뒤인 6일 오전 시리아 북서부의 반군 텐트촌이 있는 이들립주 하렘 피해 현장

[서울=뉴시스] 김재영 기자 = 시리아 북서부가 튀르키예 국경선 바로 위에서 6일 새벽 강진이 발생한 지 만 사흘이 훌쩍 지난 뒤인 9일 낮에야 유일한 외부 지원 물자를 유엔 구호품을 받았다.

그간 튀르키예 남동부에서는 국내서 8만 명이 넘는 구조대가 동원되고 해외서도 70개 국 이상이 전문구조대 파견을 약속하며 속속 도착하며 구조와 구호 활동을 벌였다.

숫자 상으로는 1차 및 2차 지진이 모두 발생한 튀르키예 쪽이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시리아 북서부보다 심하다. 1차 지진 83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튀르키예 사망자는 1만4400명이 넘고 부상자도 7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시리아 북서부에서는 아사드 정부 통제 지역과 반군 결집 지역 모두 합해 3300명 정도가 사망하고 부상자는 6000명을 넘어섰다는 통계다.

그러나 지진 발생 80시간이 지나서야 정부급 물자지원을 처음으로 받을 만큼 행정 체계가 낙후되고 열악한 시리아 북서부 사정을 감안하면 이곳의 실제 피해 정도는 지금 전해진 것보다 몇 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유엔 지원이 재개되면서 피해 통계가 비로소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트럭 6대 분량의 유엔의 구호물자가 이날 처음으로 시리아 피해지역을 향해 출발한 것은 국경선 상에 세워진 양쪽 지역 통행의 통과점이 단 한 곳뿐이었고 이 유일한 문이 지진으로 도로가 부서지면서 닫혀버렸던 것이다. 해당 국경선의 길이는 지중해변서 유프라테프강 서안까지 500㎞가 훨씬 넘는 장거리다.  

2011년 아랍의 봄 민중봉기가 두 달 뒤 4월부터 내전으로 변한 시리아는 그로부터 만 12년이 지난 현재 내전의 상처가 아주 깊다. 지진 피해 지역은 바샤르 아사드 대통령정부 통제 지역과 반군 결집 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알레포시 등 아사드 정부 통제 지역도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400㎞ 떨어져 반군을 포위하고 있는 정부 군대만 곳곳에 포진해 있을뿐 행정 서비스는 열악하다.

권력 유지를 위해 자국민에게 생화학무기를 사용하고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공군 지원에 살아남은 아사드 정부는 서방의 경제 제재로 2016년 말 탈환한 북서부 알레포시 등을 제대로 살필 여력이 없다. 유엔 구호기관이 식량을 지원해오고 있다.

유엔 기관이 지진 전 시리아 국민 1800만 명 중 1500만 명이 식량 구호가 필수적이라고 말하는 이유다. 유엔은 튀르키예 지진 발생 하루 뒤에 튀르키예 남동부 국민 1300만 명이 지진 영향을 받게 되었다고 말했고 이틀 뒤에는 시리아 북서부에서 1000만 명이 지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시리아 1000만 명 중 아사드 정부 통제 아래에 있는 국민 수가 인구 100만이 넘는 알레포시를 위시해 600만 명 된다. 나머지 400만 명이 반군 결집지역 주민인 것이다. 이 400만 명은 특히 유엔의 구호 식량 아니면 먹을것을 구할 수 없는 절대빈곤층이라고 할 수 있다.

시리아 북서부는 유프라테스강 서안의 알레포주, 중간의 이들립주 및 지중해변의 라타키아주가 튀르키예 국경선과 각각 접해 있다. 알레포주는 가운데 알레포시를 위시해 80%가 아사드에 수복되었지만 주 북단에는 반군 텐트촌이 늘어서 접경지를 모두 차지하고 있다. 이번 지진에 알레포주는 국경선에서 상당히 떨어진 알레포시도 피해를 입었으나 그보다는 바로 국경과 접한 반군 텐트촌이 소재한 아자즈, 라조 및 잔다리스가 피해가 심했다.

여기에 있던 난민촌이 우루루 무너진 것이다.

반군은 인구 300만의 이들립주를 거의 모두 차지하고 있다. 주도인 이들립시보다 하렘, 사마르다 등 북쪽에 있는 접경지 텐트촌이 역시 지진에 많이 붕괴되었다. 이 이들립주 국경선 상에 유일한 튀르키예 통과지인 밥 알하와가 있다. 라타키아주는 아사드의 고향으로 처음부터 아사드 쪽 영토였으며 이번 지진 피해가 심하지 않다.

시리아 남서부 다마스쿠스에 있는 아사드 정부에 대한 경제 제재는 미국과 유럽연합이 주도한 것이다. 반면 기나긴 국경선에 물자 수송이 가능한 통과점을 단 하나로 제한해 유엔 구호품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반군 난민촌을 압박한 것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인데 이는 아사드 편인 러시아가 주도한 것이다.

알레포주와 이들립주 접경지를 모두 차지하고 있는 반군 텐트촌 주민 수는 400만 명이고 여기에는 반군 및 그 가족 10만 명 그리고 아사드 정부군을 피해 집을 버리고 도주한 타지역 주민 200만 명이 포함된다. 문제는 아사드 정부 반군 성향이 친 튀르키예에서부터 서방의 테러단체 분류를 받은 극단 이슬람주의 세력 그리고 쿠르드족 분리세력까지 섞여져 복합적이라는 점이다.

이로 해서 반군은 반 아사드의 서방으로부터도 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오로지 유엔 구호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 구조와 구호에 국가적 조직력이 요구되는 지진 사태에 시리아 북서부의 알레포주 및 이들립주의 취약점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말았다.

유엔 물자 통행이 재개되면서 그간 국제사회가 모른체했던 이 같은 취약성과 헐벗은 난민 생활 실상이 본격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시리아 북서부의 지진 피해가 지금보다 몇 배로 심하고 참혹한 수준이라는 사실의 노출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